평택시와 매립지 관할권 분쟁 소송 중에 있는 당진시가 전면 보류됐던 아산만조력발전소 건설을 재추진하고 나서 평택시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아산만조력 발전사업이 확정 추진될 경우 평택항의 기능을 무력화시켜 경쟁력을 잃게 될 뿐 아니라 항만 주변의 환경파괴로 어민들의 설 자리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당진시 측은 조력발전사업이 시행될 경우 당진과 평택항 서부두를 직접 연결하는 4차선 연륙교를 건설해 매립지로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매립지 관할권 결정의 우위를 점하겠다는 계산이다.
문제의 아산만조력발전사업은 평택항 서부두와 충남 당진시 부곡산단지간 2.9㎞를 잇는 발전시설이다. 수문 10개에서 평균 7.95m의 조수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환경파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1월 발표된 한경대학교의 ‘아산만조력발전소 건립에 따른 환경 재해연구’보고서에서는 조력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평택항 전 구간에 퇴적이 발생, 항구로서의 기능이 심각하게 훼손된다고 지적했다. 또 항구로서의 적정 수심유지를 위해선 준설때마다 500억원에서 1천억원의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평택항의 가장 큰 경쟁력인 잔잔한 바다에 상시 너울성 파도 가 일어 그 여파로 대형 선박의 입출항이 어렵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닷물의 흐름을 막아 생태계 변화로 어민들의 생존권도 위태롭다.
지난 2013년 2월 정부가 평택항의 기능과 환경문제 등의 이유로 아산만조력발전사업을 보류시켰음에도 당진시가 사업 재추진을 천명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 당진시는 한술 더 떠 아산만조력발전사업의 사업주체이자 에너지 발전 공기업인 한국동서발전(주)와 협의도 마쳤다. 더구나 올 상반기안에 수립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제7차 전력수급계획에 아산만조력발전 사업이 반영되면 사업 재추진이 가능하다. 평택시민들은 당진시가 조력발전사업을 재추진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라고 반발한다. 그간 평택시와 당진시는 평택항건설 당시부터 명칭과 관할문제를 놓고 분쟁을 일삼아 왔다. 그렇다고 아산만조력발전소 문제까지 지역간 이기주의의 분쟁대상이 돼선 안된다. 평택항은 아시아 대륙을 잇는 주요 핵심 거점이다. 보다 큰 안목으로 문제 해결에 다가서야 한다.
아산만조력발전 건설에 목매는 당진시 속셈
입력 2015-05-07 21:3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5-08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