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쓰레기매립지에 대한 4자 협의체 회의가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 사실상 수도권쓰레기 매립지의 운영 주체인 인천시의 유정복 시장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머리를 맞댄 것은 지난 10일이다. 매립지 사용기한 연장과 면적 등 폐기물의 안전적 처리 방안을 둘러싼 현안 해결을 위한 모임이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선 기관간의 견해차만 확인한 채 헤어졌다. 이날 회의는 앞으로 30년이상 매립지 사용연장이 불가피하다는 서울시·경기도·환경부의 주장에 맞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한 인천시의 조건부 연장 내용이 핵심이다.

인천시는 매립지 면허권 지분과 소유권 양도, 매립지관리공사의 인천시 이관, 매립지 주변지역 활성화 협력 지원책 등을 연장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수도권매립지는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5동에 조성된 단일 규모로는 세계 최대다.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이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서울시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투자해 서구 백석동 일대 해안간척지 2천74만9천800여㎡에 건설됐다. 지난 1992년에 개장된 이 매립장엔 서울·인천·경기지역에서 배출되는 생활·건설·사업장 폐기물 등 1일 평균 13만400t가량의 쓰레기가 반입되고 있다. 전체 생활쓰레기 중 경기도가 39%, 인천시가 16.5%, 서울시가 44.5%를 차지해 단 하루라도 쓰레기 반입이 중단될 경우 수도권은 쓰레기 대란으로 몸살을 앓게 되는 주요 시설이다. 매립지 현안이 조기에 타결돼야 하는 이유다.

쓰레기 매립장은 쓰레기 매립뿐아니라 사후관리로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폐기물 매립이 끝난 제1매립장의 상단 부분은 36홀의 골프장이 조성돼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의 골프경기장으로 사용됐고 매립지내 녹색바이오 단지엔 승마장과 수영장이 건설돼 승마·수영종목도 개최됐다. 그러나 매립장 주변의 주민들은 20여년간 환경공해로 적지않은 피해를 입고 있다. 악취와 먼지·침출수로 인한 오염, 각종 해충 피해로 고통이 극심한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매립지 운영에 따른 재정적자 보존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쓰레기 매립에 따른 난제가 한두가지가 아니다. 장기적 안목에서 조기에 현안을 해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