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 도청사 이전 문제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청사 이전에 드는 막대한 재원마련 대책은 고사하고 청사 규모에 대한 결론조차 매듭짓지 못하고 있는 딱한 실정이다. 2001년 4월 경기도의회에서 처음으로 청사 이전 권고안이 발의된 지 14년이 흘러갔다. 6년전인 지난 2009년엔 국제공모를 통해 36층으로 설계된 도청사 건립을 계획, 도청사 이전이 본격화되는 듯했으나 호화청사 논란에 휩싸여 2013년 25층으로 변경됐다. 그러나 이번엔 공공청사로 계획된 도시계획을 일부 변경해 상업시설이 포함된 복합청사로 짓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청사규모 논란으로만 6년이 넘게 허송 세월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이미 130억원이 투입된 설계비 외에 수십억원의 추가 비용이 불가피해 예산낭비의 지적도 일고 있다.

당초 광교 도청사건립문제는 재원조달 방안이 큰 이슈로 대두됐었다. 도청사 건립에 들어가는 비용은 건축비 2천716억원, 토지비 1천427억원 등 모두 4천143억원에 이른다. 빠듯한 살림에 건립재원 마련에 들어간 도는 대책의 일환으로 도소유 부동산 26곳을 매각하거나 도가 대주주로 있는 경기도시공사로부터 받게 될 이익배당금을 토지 구입비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청사건립을 위한 건립기금운용 방안도 세웠지만 이들 모두가 현실성에서 멀어져 있다는 판단이다. 더구나 도시공사의 이익배당금은 오는 2019년부터 4년간에 걸쳐 1천427억원을 땅값으로 상계 처리키로 한 상태다. 이 때문에 도 안팎에선 행정업무 처리만을 위한 단독청사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설이 결합된 복합청사를 짓자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재원마련뿐아니라 민간과의 소통, 거리를 좁히는 효과가 크다는 배경이다.

도의회는 권고안에서 민간자본투자 유치, 복합개발 수익사업 등 건립재원의 다각화를 주문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문제는 또 있다. 광교청사를 복합청사로 지으려면 공공청사로 계획된 도시계획을 변경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국토교통부의 승인과정까지 적어도 1년가량의 시일이 소요된다. 이래저래 도청사 건립이 늦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역대 도지사들의 공약사업인 도청사 이전이 갈팡질팡하는 것은 이전 시기와 청사규모의 현실성, 재원대책 등이 획일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