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난 1년 동안 세월호 침몰을 시작으로 고양 버스터미널, 담양 펜션, 장성요양원, 판교 환풍구, 의정부 도시형 생활주택, 강화도 글램핑장 등에서 대형 재난을 겪었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후속조치로 일제 점검과 법령개정 등 대책을 세웠다. 그러나 과거를 되돌아보면 무수히 많은 법령개정과 점검에도 사고는 줄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의 기술력이 높아져 초고층 초대형 건축물이 마치 국가 위상을 자랑하는 것처럼 건축되고 있다. 그러나 세월호 사건은 선박 제조 기술력이 우수하다고 해서 관리운영까지 잘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백히 말해주고 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대형 재난을 겪을 때마다 미봉책으로 대처해오다 300여명의 목숨을 잃고 나서야 안전이 왜 중요한지를 조금 알아가고 있는 것 같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반드시 소를 잃은 후에야 외양간 관리가 부실한 것을 후회하고 뒤늦게 고치지 않던가. 그만큼 큰 대가를 치른 후에 가슴에 한을 안고 반성하는 가운데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이다. 언제까지 이러한 현실을 지켜볼 수는 없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안전은 이론이 아닌 실천하는 것으로서 어려서부터 생활화할 때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대학생들 즉 예비교사들에게 안전관리 과목을 학점제로 이수한 후 졸업하게 해 이들이 교단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안전의 중요성을 가르치도록 해야 한다. 안전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십수년의 세월이 지난 후에는 스스로 안전을 지킬 줄 아는 성인이 되지 않겠는가.

둘째, 현재 우리나라에 5개(서울2·강원·대구·전북)의 재난안전체험관이 운영되고 있다. 부산과 충남은 신축하고 있으나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1천270만명이라는 최대인구가 사는 경기도에는 안전체험관이 없다는 것이 부끄러운 현실이다.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교사가 없다면 경기도민들 스스로 안전체험관을 방문해 미리 입체적인 사고력을 키우게 해야 한다. 이것은 개인이나 기초단체에서 할 수 없는 것으로,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서두를 때다.

셋째, 경기도소방학교는 민간인 체험교육 신청이 2014년에는 13회 399명이었으나 올해는 신청자가 폭주해 28회 1천400여명이 안전체험 교육을 받고 있다. 또 행정직 신규 공직자 1천800명에게도 재난안전 교육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 변화로 경기도소방학교가 양질의 안전교육을 선도하고 양산할 수 있도록 교관을 대폭 증원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예산도 지원돼야 한다.

우리는 지금까지 재난사고 발생 후에나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응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생각해 왔다. 하지만 재난사고 대응에 있어 근본 대책은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통해 사회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을 뿌리 뽑고,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선병주 경기도소방학교 교육기획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