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민의 숙원사업인 수원비행장 이전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수원시가 7조원이 투입되는 기술집약형 첨단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를 내놓은 데다 국방부에서도 공항 이전에 적정 평가를 내렸기 때문이다. 수원시는 지난 14일 양평에서 열린 국방부 주관 수원 군공항이전건의평가위원회의를 통해 ‘수원 군공항부지 개발이익금이 7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밝히고 7조원 전액을 신공항 부지매입과 활주로 건설, 이전지역 주민 지원사업으로 충당하겠다는 것이다. 수원시가 내놓은 신공항은 면적이 14.5㎢에 달해 기존 공항 크기의 2.7배에 달한다. 전체 사업비는 이전사업에 5조463억원, 지원사업 5천111억원, 종전부지 개발비 7천825억원 등 총 6조9천997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수원시는 군비행장 이전 부지에 첨단과학연구단지와 배후주거단지를 조성하고 문화공원과 녹지도 확보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국방부는 수원시가 제출한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평가한 결과 적정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간 국방부는 군비행장 이전 방식을 수원시가 신공항을 건설해 국방부에 기부하고 국방부는 기존 공항부지를 수원시에 넘겨주는 기부와 양여 방식을 선호해 왔다. 수원시는 시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비행장 이전을 위해 야심찬 개발계획을 내놓음으로써 비행장 이전 계획을 성사시킨 것이다. 시는 지난해 3월 수원비행장 525만㎡가운데 56.5%는 공원과 도시기반 시설로 두고 나머지 43.5%는 분양해 4조5천억원의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었다.

신규 군공항은 후보지 선정 5년뒤에 완공될 예정이다. 기존 부지에 대한 개발은 이전후에 이뤄지게 된다. 그러나 신공항 이전부지 선정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지난 8일에 개최된 이전후보지 대상 지자체 설명회에서 화성·용인·안산 등 경기 남부지역 10개 지자체 관계자들이 모두 주민 피해 등을 이유로 한결같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유력지로 떠오르고 있는 시화지구의 경우 화성시는 매송면 광역공동장사시설 건립을 수원시가 지역경계와 가깝다는 이유로 발목을 잡고 있어 수원 군비행장을 받아줄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가 안보사업이 지역이기주의에 묶일 판이다. 정부의 결단이 필요한 사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