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중앙대를 서구 검단신도시에 유치하려던 계획이 백지화됐다. 중앙대 유치사업은 검단신도시 인근 99만5천㎡에 인천캠퍼스·대학병원·주상복합건물·공공시설 등 대학 단지를 건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그러나 기존 협약내용으로는 기업이 원하는 만큼의 수익구조를 만들기 어려운 상황인 데다 중앙대가 사업포기 의사를 밝힘에 따라 사업추진 5년만에 없던 일이 됐다. 결국 ‘부풀려진 개발사업’으로 드러난 채 허무하게 막을 내렸다.
사실상 그 사업은 성공 가능성에 대해 신중함이 결여된 상태에서 일단 터뜨려 놓고 보자는 입장이 강했던 사업이었다. 중앙대 입장에서는 자금마련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서도 캠퍼스 부지를 얻을 기회였으며, 인천시는 대학유치를 서구개발의 지렛대로 활용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혀 협약체결 이후 인천시나 중앙대나 모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못했다.
이런 식의 부풀려진 개발사업은 정치적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당시 인천에 종합대학 캠퍼스 유치를 통해 정치적 실적을 높이려는 욕망이 개입되었다고 봐야 한다. 또한 당사자인 중앙대가 어떤 노력을 했었는지 뒤돌아 봐야 한다. 지난 5년 동안 중앙대가 인천캠퍼스를 위해 노력한 흔적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하면 씁쓸할 정도다. 아울러 인천시가 과연 무엇을 위해 이 사업을 추진했는지 실망을 금할 수 없다. 결국 무모한 정치적 욕심이 얼마나 참담한 실망을 주고 끝나는지 이번 사태는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인천시민과 서구 검단 주민들이 가졌을 실망감을 어떻게 위로해야 할지 걱정이다. 지금 인천시에서 이 사태에 대해 책임있는 발언을 할 인사가 있을지 의문이지만, 사업 백지화 발표로 그냥 끝낼 일인지도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이제부터 터무니 없이 부풀려진 개발사업으로 지역주민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일이 더는 없어야 한다. 중앙대를 유치하려 했던 사업부지에 다시 앵커시설을 유치하려고 한다는 소식이다. 이 사업 역시 현실성이 과연 어느 정도인지, 또 검단지역과 인천에 과연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사안인지에 대해 시민들의 관점에서 의견을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다시는 허망한 일을 막을 수 있다.
중앙대 인천캠퍼스 건립 무산이 준 교훈
입력 2015-05-19 20:4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5-20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