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산하 공공기관의 직원 채용제도 개선책을 내놓았다. 26개 산하기관의 직원 채용일을 일괄 공고하고 필기시험도 도가 직접 챙기겠다고 한다. 학연·지연·인맥 등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서류전형도 사실상 폐지하고 면접시험 대상자를 채용인원의 5배수 이내로 축소하는 등의 개선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산하기관은 도가 직원채용의 공정성 확보와 비용절감을 내세우고 있지만 각 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상’을 감안치 않은 과도한 간섭의 실체라며 반발하고 있다. 뜻은 좋으나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지적이다. 도의 과도한 채용개입은 산하기관 특성에 맞는 인재채용에 장애가 된다는 것이다. 채용 개선안이 사전에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돼 시행안 마련부터 도와 산하기관간 불협화음이 일고 있는 모양새다.
산하기관들은 신규 채용규모가 줄어들어 산하 26개 기관의 채용인원이 200명 안팎인 상태에서 그나마 맞춤 인재찾기에 벽이 생긴다는 우려다. 그러나 도는 산하기관이 수시·산발적으로 채용하는 제도가 인재 선발에 한계가 있고 비효율적인 시험관리로 낭비요소가 많다고 보고있다. 산하기관이 수시·산발적으로 채용하던 것을 매년 초 도가 일괄 공고해 필기시험도 도가 직접 치르겠다는 것이다. 그간의 서류전형 방식은 필기시험 인원을 한정하거나 필기 합격자 수를 15배수까지 선정, 면접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하면서 발생하는 공정성 시비를 불식시키겠다는 의도도 담겨 있다. 도는 올 하반기부터 산하 공공기관의 채용계획을 취합해 연 2회 정기채용 하면서, 서류전형을 배제하고 필기 또는 인적시험을 의무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산하기관들은 이럴 경우 업무 자체가 일반 직종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업무관련 인재를 뽑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우려하고 있다. 더구나 도 산하기관의 적자운영 폭이 커지고 있는 마당에 직원채용을 일반화하는 것은 공공기관 발전에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설득력이 있는 주장이다. 현재 주요 산하기관 단체장은 공모와 철저한 청문회 과정을 거쳐 선발되고 있다. 특수성을 감안했기 때문이다. 직원채용도 같은 맥락이어야 한다. 제도는 한번 바꾸면 다시 고치기 어렵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이유다.
도 산하기관 직원 채용제도 변경 신중해야
입력 2015-05-20 20:1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5-21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