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치 못지 않은 정쟁을 벌이는 경기도의회의 행태가 목불인견(目不忍見 )이다. 연정 덕분에 여야 분위기가 좋은 줄 알았는데 속을 들여다보니 꼭 그렇지도 않은 모양이다. 연정 덕분에 장밋빛 의회상을 그리던 도민들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경기도의회 임시회에서 국가정보원의 선거개입 의혹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는 내용의 건의안이 상정되려다 여당의 반발로 무산됐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고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의 특별사면과 관련, 여당인 새누리당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의 검찰수사와 대국민 사과 등을 촉구하는 건의안을 올렸다. 일종의 ‘맞불’인 셈이다.

그런데 어제 도의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야당의 건의안은 가결되고, 여당의 건의안은 부결됐다. 도의회는 지난주부터 이런 터무니 없는 2개의 건의안 상정을 놓고 대립각을 보이고 있었다. 경기도가 민선 6기 출범과 함께 연정이라는 새로운 정치모델을 도입 운영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이 오히려 의아스러울 정도다. 연정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사회통합 부지사제도를 비롯해 인사·예산에 이르기까지 여야간 합의를 통해 연정체제를 갖추어 나가는 중이다. 그런데 느닷없이 도의회 여야의원들이 중앙정치권의 쟁점까지 건의안을 마련, 상정하는 등 편가르기에 나서 갈등을 빚는 행태는 연정을 무색하게 해 놀랍기까지 하다.

가뜩이나 할 일 많은 지방의회가 지방현안을 뒤로한 채 중앙정치권의 정쟁에 끼어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번 일로 도정 현안인 군사격장 주변 피해조사를 위한 특위구성이나 버스요금인상 논란에 따른 특위구성 문제 등이 뒷전으로 밀렸다. 중앙정치권의 쟁점을 지방의회까지 끌어들인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 더구나 중앙정치권의 정치행태에 염증을 느낀 도민들의 시선이 곱지않다. 지방의회는 지방의회대로 기능과 역할면에서 다분히 지방적이어야 한다. 특히 이제 막 꽃을 피우려는 경기 연정을 전 국민이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그런데 중앙정치 흉내를 내며 서로 불신을 키운다면 그동안 노력을 기울였던 연정이 아깝다. 도의회는 연정의 본뜻을 되새기며 오직 도민을 위한 정치에 매진하기 바란다. 지금 전 국민이 ‘경기 연정’을 쳐다보고 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