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 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질 조짐이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생산이 3, 4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4월의 설비투자도 전월보다 0.8%나 위축되었다. 금년들어 4개월째 계속된 수출 부진이 초래한 결과로 판단된다. 세계적인 경기둔화에 따른 교역량 감소에다 유로화와 엔화의 동반 약세가 결정적인 이유이다.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일본과 유럽에 대한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9.7%와 18.8% 감소했다. 주요 수출국인 중국경제의 둔화는 설상가상이었다. 기업들의 체감경기도 이달 들어 하락세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의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제조업의 5월 업황 BSI는 75로 전월보다 5포인트나 하락한 것이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미만이면 그 반대다.
민간소비 증가가 그나마 위안이다. 서비스생산은 전월 대비 0.5% 증가했으며 소매판매도 1.6%나 늘었다. 저유가와 자산시장의 개선세가 소비심리 회복으로 이어지면서 소매판매, 서비스업 생산 등 소비관련 지표들이 한층 개선된 때문이다. 5월 들어 소비재 수입도 증가하고 있어 소비 개선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개연성이 크다. 그러나 지난해 4월 세월호참사 이후 소비가 주저앉았던 점을 감안하면 본격적인 소비심리 회복으로 판단하기는 이르다. 1천100조원의 가계부채는 향후 경기회복에 또다른 걸림돌이다. 원리금 상환부담이 점차 커질 수밖에 없는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국내적으로도 대출금리 상승 압박은 불문가지인 탓이다.
정부는 저유가와 확대재정정책으로 금년 하반기에는 경기가 되살아날 것으로 내다봤지만 소비를 제외한 실물지표는 더 나빠졌다. 2분기 성장률은 1분기에 비해 크게 좋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등 경제 활성화가 자체적으로 회복되기 어려울 수도 있어 보인다. 기준금리 추가인하 내지는 수출 진작을 위한 특단의 대책주문이 주목되는 이유이다. 좀 더 지켜볼 일이나 방심은 금물이다. 경제는 경제주체들의 신뢰를 먹고 산다. 정부는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에 각별히 공을 들여야 할 것이다.
경제지표 나빠도, 불안감 해소에 공 들여야
입력 2015-05-31 20:4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6-01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