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이 됐다.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뒤 같은 증세로 경기도의 한 병원에 입원 중이던 여성 격리 대상자가 사망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방역당국은 물론 경기도는 도대체 그동안 무엇을 하고 있었냐는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경기도의 침묵은 계속되고 있다. 메르스 최초 환자가 도내 한 대형 병원에서 발생했고, SNS를 통해 온갖 공포 괴담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지만 그동안 경기도의 대응이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런 와중에 환자가 사망했다. 사망자 발생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괴담이 더 확산될까 걱정이다.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초기대응이 얼마나 어처구니 없었는지 드러나면서 방역당국과 경기도에 대한 실망감은 더 커지고 있다.
확진환자 가운데 상당수는 경기도내 한 대형 병원에서 감염됐다. 도민들의 불안이 증폭된 것도 이 때문이다. 해당 병원은 지난달 30일 모든 병실을 폐쇄 조치하고 환자와 의료진을 응급실 내부에 격리하기도 했다. 이렇게 메르스 감염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에도 경기도의 대응은 도민들을 안심시키는데 완전히 실패했다. 도대체 무엇을 했는지 한심할 정도다. 정부가 알아서 해줄 것이라고 방심했을 가능성이 높다. SNS 등에서 경기도의 특정 지역과 병원을 언급하며 ‘그 병원에 가면 전염병이 공기중으로 전염되고 메르스 감염자가 십수 명에 달하지만 보건당국이 이를 숨기고 있다’는 유언비어에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대응했다면 공포괴담은 크게 줄어들었을 것이다.
이번 메르스 사태와 겹치면서 공포감을 증폭시켰던 탄저균 배달사고가 일어난 곳도 공교롭게 오산 미군기지다. 그런데도 경기도는 지금까지 이에 대해서도 ‘강건너 불구경’하듯 하고 있다. 이러니 경기도의 허술한 초동 대처와 후속대책이 메르스 확산과 괴담을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이다. 메르스의 확산을 막는데 있어 국민들의 자발적인 협조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방역 당국과 지자체의 발 빠른 대처가 우선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번에 경기도가 보여준 대응은 실망 그 자체다. 허울뿐이었던 ‘경기도 광역비상대책본부’를 보면서 도민들이 허탈해 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메르스 환자 사망, 경기도는 도대체 뭘했나
입력 2015-06-01 22:3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6-02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