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에 생산공장을 둔 ‘팬택’(PANTECH)의 마지막 광고가 사람들의 마음을 뒤흔들고 있다.
파산을 선언한 팬택은 지난 27일 직원 1천200명의 이름을 빼곡히 적은 마지막 광고에 “지금 팬택(PANTECH)은 멈춰 서지만 우리의 창의와 열정은 계속됩니다”는 말을 남겼다.
이어 “팬택을 사랑해 주신 여러분들을 우리는 잊지 않겠습니다”고 이별을 고했다.
한국 스마트폰 신화를 써왔던 ‘팬택’이 법정 관리 중 기업회생 절차를 포기, 청산에 들어간 것. 법원이 받아들이면 팬택은 지난 1991년 3월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후 24년 만에 사라지게 된다.
‘팬택’은 4천만원으로 시작해 한국 2위, 세계 7위의 스마트폰 제조사로 샐러리맨 벤처 신화로 주목을 받았었다. 협력업체의 줄도산 등을 고려할 때 그 여파는 매우 크다.
한때 팬택 산단유치에 환호성을 질렀던 김포의 지역경제도 휘청이게 됐다.
지금도 팬택을 살려야 한다는 움직임은 계속되고 있다. ‘대기업 틈바구니에서 기술 하나만 갖고 글로벌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끝없는 노력을 했던 팬택을 지켜야 한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파산은 해답이 아니다. 한국경제의 한 축으로 버티던 기업을 휴지 조각으로 만들기는 쉽다. 그러나 또 하나의 ‘팬택’을 만드는 일은 기적과 다름 없다. 해외에 매각하는 것도 기술유출 등 ‘제2의 쌍용차 위기’ 논란 등 다양한 문제가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팬택을 공적자금 투입 등으로 살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닐 수 있다. 팬택이 망한 이유는 제품성능의 낙후성 등 경쟁력 약화를 비롯 다른 곳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마(大馬)도 아니기에 불사(不死)를 주장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우려되는 것은 단 하나다. 한국 스마트폰 신화의 대명사 ‘팬택’의 청산이 혹여 한국경제 하락의 ‘신호탄’(?)일지 모른다는 기우 탓이다.
하지만 팬택이란 회사가 청산되는 이 시점에서도 여의도·광화문·강남 테크노밸리 등지의 정치·경제·사회의 주요 플레이어들은 특별한 말이 없다. 혹시 우리는 너무 작고, 무의미한 것들에만 열광하고 분개하면서, 정작 한반도의 명운을 가를만한 의제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게 아닌지 아쉽다.
/전상천 지역사회부(김포)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