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와 관련, 경기도의 무능력 무대책 무책임 3무가 도마에 올랐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는 도내 두 곳의 지자체였다. 어떻게 보면 정부보다 도가 먼저 나서 사태를 진정시켜야 했음에도 도가 보여준 태도는 한심할 정도다. 경인일보 보도에 따르면 첫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지 보름이 지나서야 남경필 경기지사가 뒤늦은 긴급 대책회의를 통해 정부와 공동대응팀을 구성해 도민을 안심시키겠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도가 우물쭈물하는 사이 정부는 이번 사태의 가장 중심에 있는 도를 배제한 채 범정부 메르스대책지원본부를 구성했다.

도민들의 불만이 빗발치자 남 지사와 방역대책본부장을 맡은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첫환자가 발생한 지 보름이 지난 2일 밤 긴급 회의를 통해 메르스 대책 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도의 대책이라는 것이 겨우 정부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가 함께 공동대응팀을 만들겠다는 형식적인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런 내용조차 정부 측에 아무런 공식 문서로 전달되지 않았다. 대책만 세우고 행동은 없었던 셈이다. 그 후유증은 그대로 나타났다. 메르스 환자와 격리 대상자가 늘어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갈등이 불거졌다. 강원도, 충북도, 인천시는 타 지역 환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지역 이기주의’ 현상도 일어났다.

정부는 국가지정 격리 병상 운영에 대해 지자체는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도가 진정성을 갖고 좀 더 신속하게 타 지자체와 공동대응팀을 만들었다면 이처럼 지자체가 거부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정부의 일방적인 지시보다 지자체 간의 유대가 더 돈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의 무사안일로 ‘골든타임’을 놓치는 결과를 초래했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되자 도는 뒤늦게 250병상 이상의 격리병원을 사전에 확보한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립 서비스’에 그쳤다. 정부의 무능을 뺨치는 도의 무능이 그대로 드러난 셈이다.

이번 사태의 책임은 정부의 늑장 대응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모두 정부만 탓할 일도 아니다. 메르스가 국가가 관리해야 하는 감염병이라는 것은 맞지만 발병 진원지인데도 무능력·무대책·무책임과 여기에 단체장의 무소신으로 일관한 경기도 역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메르스 사태는 지금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이런 위기상황은 어찌 보면 남경필 지사의 리더십을 발휘할 좋은 기회일 수도 있다. 늑장 대응으로 비난을 자초한 경기도가 이번 사태를 어떻게 수습할지 우리는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