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를 둘러싸고 정부와 지자체 간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성남지역에서 첫 메르스 양성 반응 환자가 발생했음을 알리며 환자의 거주 지역 아파트 실명과 직업, 자녀가 다니는 학교 실명까지 공개했다. 김만수 부천시장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메르스에 감염된 30대 남성 A씨의 동선을 공개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시가 독자적으로 메르스 대책 체제로 전환하는 동시에 500여 명의 인력을 배치해 역학조사와 가택격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공교롭게도 모두 야당 지자체장들이다.
정부의 대처가 미약해 야권 지자체 장이 독자적인 행보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을 이해 못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시장과 김 시장, 그리고 박 시장의 발표가 신중치 못했다고 본다. 특히 이 시장의 경우 SNS를 통해 개인 신상을 노출함으로써 불필요한 혼선과 공포감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뒀어야 했다. 아무리 급해도 정식 브리핑이 아닌 SNS를 통해 중대사항을 발표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 모든 유언비어가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이 시장이 모를 리 없었을 것이다. 이 시장의 행동은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다.
정부는 어제 확진 환자가 나온 병원과 환자가 경유했던 병원 24곳을 공개했다. 마지못해 공개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지만 뒤늦게라도 정보를 공개한 건 잘한 일이다. 또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권선택 대전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등이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메르스 확산의 차단을 위해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중앙과 지자체 간 실무협의체를 구성키로 한 것 역시 바람직 하다. 이번 사태는 정부와 지자체, 여와 야, 그리고 국민이 함께 대처하고 서로의 힘을 모아야 극복할 수 있다.
정부의 무능은 이번 사태가 진정된 후 따져도 늦지 않다. 메르스 사태가 정쟁의 대상이 돼서는 안된다. 야당 입장에서는 메르스 사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싶은 유혹도 있겠지만 참아야 한다. 이번 일을 실추된 정치력을 회복하는 수단으로 삼으려 한다면 국민에게 역풍을 맞는다는 것을 명심하길 바란다. 다시 강조하거니와 메르스 퇴치에 정부·정치권·지자체·국민 모두 합심해야 극복할 수 있다.
메르스 퇴치에 정부·지자체 여·야 따로 없다
입력 2015-06-07 22:1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6-08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