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근로자 연평균 임금상승률이 2012년 이후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다.

7일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발표한 ‘인천지역 임금실태 점검 및 정책적 시사점’을 보면, 인천지역 근로자 월 임금의 연평균 상승률(상용근로자 5인 이상 업체)은 2010년 5.9%, 2011년 5.3%까지 올랐다가 2012년과 2013년 각각 4%, 2014년 1.1%로 하락했다.

전국평균은 2012년 5.3%, 2013년 4.5%, 2014년 3.7%다. 이 결과 2012년 이후 3년간 인천의 월 임금 연평균 상승률은 약 3%로 전국 평균인 4.5%보다 낮다. ┃표 참조

한국은행 인천본부는 소규모 기업과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 외국인 근로자 비중 확대 등을 저임금 원인으로 꼽았다.

소규모 기업이 많은 인천에는 임금이 비교적 높은 대기업 종사자 비중이 낮고, 노동생산성도 떨어진다는 풀이다. 이는 업태와도 관련이 있는데, 인천의 경우 제조업이 주를 이뤄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이 부족하다. 반대로 서울의 경우 고임금 서비스업 시장이 몰려 있어 월 임금이 높다.

인천 내 소규모 기업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 고용률도 높아 지역 내 월 임금을 낮추는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이밖에도 인천본부는 인천의 높은 토지·건물 등의 임차비도 고용주의 경제적 부담을 높여 인건비 지출 확대에 걸림돌이 된다고 봤다.

인천본부는 지역 평균 임금과 연평균 임금상승률을 높일 정책으로 수도권 규제 완화, 고부가가치 산업 집중 육성, 인적자본 투자 확대, 저임금 근로자에 대한 사회 안전망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인천본부 관계자는 “기업 유치, 신규 투자를 막는 수도권규제 완화와 고부가가치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 확대가 필요하다”며 “중소기업의 인적자본 투자, 생산성 증대로 인한 임금인상 여력 확보를 돕고,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청년 창업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박석진기자 psj0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