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의 매개가 병원이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병원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아픈 사람이 찾는 병원이 부실한 방역체계 때문에 전염병 질환의 근원지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병원 입원환자는 물론 병문안 가족, 의료진까지 전염성 질환에 대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었던 탓이다. 병원 기피현상이 겉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는 원인이다. 정부는 지자체장들과의 합동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감염 경로와 관련된 27개 병원 명단을 발표했다. 확진 환자들의 이동 경로를 투명하게 알려주기 위해 명단을 발표한 것이다. 그동안 국민을 더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이유로 비공개 원칙을 고수했던 정부가 국민들의 공개 압박에 뒷북을 친 것이다. 메르스는 서울을 비롯 경기·부산·전북 등 전국으로 확산된 후다. 전국 유치원과 학교 등 1천869곳에 휴업 조치가 내려졌다. 경기도는 7개지역 1천250개교가 휴업에 들어 갔다.

메르스로 이미 6명이 사망하고 격리 대상자는 2천500명을 넘어섰다. 환자도 17명이 증가했다. 많은 환자가 한국에서 가장 크다는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됐다. 이들은 거의 응급실 병문안을 왔거나 관련 의료진들이다. 14번째 환자가 있었던 삼성서울병원은 노출된 인원만 일반인 675명과 직원 218명 등 893명에 이른다. 메르스 확진 환자들은 모두 병원에서 감염됐다.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는 물론 병문안 가족, 이들을 치료했던 병원 직원들에 대한 방역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전염성이 강한 질병임에도 병원의 방역은 말 그대로 무방비 상태였다.

우리는 그동안 병원의 환경 및 방역체계 개편을 수없이 지적해 왔다. 좁은 병실에 많은 환자를 몰아 넣으면서, 환기시설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 병실이 부지기수다. ‘면회시간 준수’도 말 뿐, 누구나 병실을 아무런 제지 없이 아무 때나 드나들 수 있다. 이번에 병실 방문자가 전염의 매개체가 됐다. 방역시스템도 체계적으로 보완해야 하는 이유다. 병원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구조도 문제다. 무조건 대형 병원만 선호, 응급실이 넘쳐나는 폐해도 고쳐져야 한다. 이번 기회에 의료체계의 개선은 물론 의료기관 이용수칙도 국민이 안심할 수 있을 정도로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