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로 황교안 총리 후보자의 청문회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메르스에 대한 정부의 초동 대응과 격리 실패가 사태를 악화시키고 국민들의 불안은 가라앉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좀처럼 진정 국면으로 돌아서지 않는다. 이 여파가 총리 후보자 청문회에 영향을 줘서는 안된다. 총리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진행되고 있으나 황 후보자가 국회가 요구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법조윤리협의회 조차 국회의 비공개 검증을 거부하는 등 상식 밖의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황 후보자의 병역면제 의혹과 전관예우에 관한 사항이 청문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메르스 때문에 청문회가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황 후보자는 변호사 시절 수임 내역 중 자문 등 업무활동 내역 19건에 대해선 제출할 의무가 없다며 공개하지 않았다. 이 밖에 다운계약서 작성과 종합소득세 늑장 신고 등도 쟁점이다. 총리 공석 기간이 지속되면서 메르스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으나 그렇다고 총리 후보 청문회를 적당히 넘길 수는 없다.

이완구 총리 후보자나 안대희, 문창극 후보자의 경우는 청문회 전에 제기된 의혹이나 쟁점들이 언론을 통해서 검증되고 여론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번 경우 메르스라는 악재 때문에 온 국민의 관심이 메르스에 집중되면서 사전 검증이 전무하다시피한 상황이 되고 말았다. 게다가 황 후보자가 기자들의 질문에 함구로 일관하면서 청문회 전의 검증 자체가 실종되고 말았다. 이는 황 후보자의 청문회 전략과 연결될 수 있으나 청문회 자체가 상대적으로 관심이 떨어지고 있다.

총리는 대통령의 명을 받아 행정각부를 통할하는 엄중한 자리이다. 역량과 자질 검증은 물론 제기된 의혹에 대해 후보자가 명명백백하게 밝히는 태도가 중요하다. 지난 이완구 총리 후보자의 청문회 때도 제기된 의혹이 제대로 해명되지 못하고 정치논리로 총리에 대한 국회 비준이 통과되었으나 결국 최단명 총리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던 기억이 새롭다. 이번의 경우도 총리 부적격 판정을 내리게 되면 행여 국정의 발목을 잡는다는 비판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메르스 사태를 진정시키는 한편 총리로서의 도덕성과 자질, 국정수행 능력 등도 철저하게 검증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