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금융의 본거지로 유명한 월스트리트와 함께 민주주의와 인권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이 우뚝 솟아있는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뉴욕은 세계의 TV, 광고, 음악, 신문, 책 산업의 메카이다. 세계 10대 광고대행사 중 7개가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을 정도로 거대한 미디어 시장이다. 바로 글로벌 도시 뉴욕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광고제 ‘뉴욕페스티벌’이 다음달 1일부터 여주시에서 개최된다.
미국에서 열리는 뉴욕페스티벌을 그대로 여주에 옮겨놓기 위해 시는 지난달 21일부터 3일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본행사의 출품작과 수상작 등 5천여점을 확보하고 여주로 이동중에 있다. 5일간의 축제기간 동안 광고 관련 학회와 광고전문가, 관광객 등 6만명 이상이 여주를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직접적인 축제방문도 중요하지만 SNS를 통한 홍보 등을 통해 전 세계 수백만·수천만명이 정보를 공유하면서 여주시의 도시 브랜드 및 인지도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주시는 뉴욕페스티벌을 통해 문화와 관광의 요충지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 여주시는 지난 30여년간 수도권정비법과 한강수계법 등 중첩 규제로 인해 성장 발전에 무수한 제약을 받고 있는 만큼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강한 의지다.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을 알리고 지역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주민들의 관심이 대단하다. 이를 증명하듯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범시민후원회가 출범하는 등 지역사회 전체가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돌입했다.
하지만 갑작스레 확산되고 있는 메르스 공포로 인해 대중들이 운집하는 축제나 행사를 취소 또는 연기하는 지자체들이 늘면서 여주시 역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개최일까지 아직 시간이 남았다고 해도 메르스 확산에 대한 공포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주시장을 비롯해 공직자들, 시민사회단체가 안타까운 마음을 부여잡고 있다.
여주시로서는 메르스 공포로 어렵사리 손에 잡은 지역발전을 위한 재도약의 기회를 허무하게 놓치지나 않을까 하는 위기감마저 확산 되고 있다. 단지 한 지역의 문제라기 보다는 국가 전체의 위기상황이다. 그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에다 지자체의 노력, 여기에 성숙한 시민의식이 더해진다면 세계적인 행사를 우리 지역에서 즐길 수 있는 시간은 곧 다가올 것이다.
/이성철 지역사회부(여주)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