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여파로 지역경제가 큰 타격을 받고 있지만, 일부 PC방과 노래방이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한다. 학교들이 휴업에 들어가면서, 학생들이 대거 몰려들기 때문이다. 집에만 있자니 답답하고, 마땅히 갈 곳이 없으니 이곳을 찾는다는 것이다. 환경이 좋을 리 없다. 오히려 보건 사각지대로, 학교보다 메르스 감염 가능성이 더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잇달아 사망자가 발생하고 환자들이 속출하고 있어 여전히 휴업령에 무게가 실리지만, 학생들을 환경이 더 열악한 PC방·노래방으로 내모는 것에 부정적인 견해도 만만치 않다. 차라리 교사들이 학생들의 건강을 직접 챙기는 것이 메르스 예방에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7일 수원·화성·오산·평택·안성·용인·부천 등 7개 지역 유·초·중·고·특수학교 1천255곳에 휴업령을 내렸다. 기간은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이다. 기존에 휴업했던 학교는 이에 맞춰 기간이 연장됐다. 이로써 9일 현재 경기도는 유치원 518곳(휴업률 46%), 초등학교 662곳(55%), 중학교 263곳(43%), 고등학교 181곳(39%), 특수학교 18곳(56%) 등 모두 1천645곳(47.6%)이 휴업중이다. 학교 자율로 휴업에 동참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는 자칫 환자가 발생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책임을 피하기 위해서다. 휴업으로 각 학교 교육과정 운영과 학사일정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휴업령이 적절했는지는 지금으로써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특별한 대책 없이 실시한 휴업령으로 인한 후유증도 크다. 맞벌이 부부들은 아이를 돌보기 위해 휴가를 내야 하고, 그나마 그럴 형편도 안되는 가정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저학년을 위한 돌봄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나 이곳 역시 찾는 학생이 없어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그 사이 학생들은 학교보다 위험에 더 노출된 열악한 곳만 찾아 다닌다. ‘휴업’이라는 전시 효과보다, 차라리 학교에서 교사들의 보살핌을 받는 게 더 안전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학생과 교직원을 보호하고 메르스 확대를 막자는 취지의 휴업이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사태가 진정되는 지역부터 휴업을 해제하는 것도 생각해 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