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을 우려한 일선 학교의 휴업사태를 두고 한국-WHO(세계보건기구) 메르스 합동평가단이 수업재개를 권고하고 나섰다. WHO 평가단은 한국 정부에 ‘첫 번째 권고사항’을 전달하면서 “한국이나 다른 국가에서 학교가 메르스 전염과 관련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업재개를 고려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그동안의 우려와는 달리 학교는 메르스 확산과 연관성이 없다고 본 것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7일 수원·화성·오산·평택·안성·용인·부천 등 7개 지역 유·초·중·고·특수학교 1천255곳에 휴업령을 내렸다. 11일 현재 유치원 518곳(휴업률 46%), 초등학교 662곳(55%), 중학교 263곳(43%), 고등학교 181곳(39%), 특수학교 18곳(56%) 등 모두 1천645곳(47.6%)이 휴업중이다.

우리는 지난번 학교휴업으로 갈 곳 없는 학생들이 환경이 더 열악한 PC방·노래방으로 내몰리고 있어, 메르스가 진정되는 지역부터 휴업을 해제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아무런 대책없이 실시된 휴업으로 맞벌이 부부들이 큰 혼란을 겪는 등 후유증도 만만치 않은 게 사실이다. 메르스 방역에 나서야 하는 공무원이 자녀를 돌보기 위해 휴가를 내는 일도 벌어졌다. 맞벌이 부부를 위한 ‘돌봄 프로그램’도 운영중이었지만 찾는 이들이 없어 사실상 휴업상태다. 일선 학교들은 언제 끝날지 모를 휴업으로 학사일정에도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

우리는 공기내 전염을 부정적으로 본 WHO 메르스 평가단의 수업재개 권고가 일리 있다고 본다. 휴업령이 적절한 조치였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지만, 도교육청과 휴업 중인 학교 등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보호와 학부모들의 반발 등으로 수업재개 여부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진짜 이유는 휴업해제 후 자칫 학생들이 메르스에 감염될 경우 쏟아질 비난 때문이라는 지적의 소리도 높다. 최고 전문가그룹이라 할 수 있는 WHO가 모든 사안을 고려해 휴업해제를 권고했음에도 단지 책임문제 때문에 휴업해제를 꺼리는 것이라면 이는 올바른 교육자의 자세가 아니다. 오히려 무리하게 휴업을 감행한 교육 당국이 비난 받을 일이다. 메르스가 사라질 때까지 마냥 기다릴 것이 아니라 이제 사태가 진정되는 지역부터 수업을 재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