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으로 다급해진 경기도가 이번엔 청소년수련시설을 메르스 격리환자 시설로 잠정 지정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다.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들의 심신을 단련하는 청소년 전용시설인데다 주민 반발 등을 이유로 관련 지자체와 협의조차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도와 안산시·광명시 등에 의하면 지난 12일 도와 광명시는 메르스 환자와 접촉해 격리 대상자로 분류된 A(53)씨를 도의료원 수원병원으로 이송하려다 A씨가 거부하자 안산 소재 경기도청소년수련원에 격리했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인근 주민들이 몰려가 항의했고 해당 안산시에서도 협의가 없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A씨는 수련원을 나와 시가 마련한 별도 격리시설로 옮겨졌다.
이와관련 경기도는 이달 초 메르스 자가격리 대상자가 늘어나고 관리가 어려워지자 도가 운영하는 청소년수련원을 비공식 격리시설로 지정했던 것이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해 해당 시와도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 위치한 경기도청소년수련원은 지난해 세월호사고 이후 이용객이 크게 줄어 든 상태다. 그러나 경기도청소년수련원은 도내 유일한 도립시설로 천혜의 갯벌과 숙박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어 학생들의 수련시설로 선호하는 곳이다. 뿐만 아니라 수련시설이 위치한 곳이 청정지역으로 청소년들의 심신을 단련하기엔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또 인근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국제요트항이 자리해 있고 주말이면 나들이 인파가 몰리는 곳이다. 격리시설로 사용하기엔 여러모로 부적합한 곳이다.
이에대해 도는 워낙 민감한 사안이라 부득이 공표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시는 물론 도의회에서도 ‘정부에 소통을 요구해 온 경기도가 정작 시·군과는 불통이었다’며 비판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심각한 만큼 격리시설 등 치료문제가 시급하지만 제2, 제3의 확산을 우려해 관련시설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평택과 삼성서울병원을 진원지로 한 메르스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는 원인의 하나가 정보소통 부재였다. 어려울수록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주민간의 원활한 소통만이 메르스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지자체와 협의없이 수련시설에 환자 격리라니
입력 2015-06-15 21: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6-16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