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와 가뭄, 이로인한 지역경제 침체 등 3중고가 경기도를 짓누르고 있다.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했거나 환자가 경유해 간 병원이 있는 지역이 경제 침체로 겪는 고통은 의외로 크다. 특히 메르스 진원지로 지목된 평택시의 경우 시민들이 겪은 상실감은 상상을 초월한다. 평택 경제는 외부의 지원없이 자력으로 회복하기에는 당장은 불가능하다. 여기에 중부지방, 특히 한수 이북을 강타한 가뭄은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열흘안에 충분한 비가 오지 않으면 올해 농사를 완전히 망친다는 암울한 전망도 나온다. 그만큼 경기도가 처한 지금의 상황이 녹록지가 않다.

지난 4월 추경이 어렵다던 경기도가 3중고를 극복하기 위해 8월 추경을 추진하려고 하자, 경기도의회가 난색을 표하는 모양이다. 도는 지난 14일 메르스 피해자와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 등을 위해 1조4천억원 규모의 1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오는 8월에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추경을 요구하던 도의회에 ‘신중론’을 펼치던 도가 갑자기 방향을 선회한 것이 못마땅하고, 추경을 위해 ‘8월 임시회’를 열기 위해서는 연간 회기 일정을 손봐야 하는 등 일정상 어렵다는 것이다. 도의회 입장에 충분히 이해가 간다.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것도 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추경을 요구할 때까지만 해도 ‘아직 추경을 할 만큼 돈이 모이지 않았다’고 했던 도가 한 달도 채 안돼 견해를 바꿨으니 기분이 유쾌할리 없을 것이다. 더욱이 지금은 모든 예산편성에 머리를 맞대고 짜는 연정의 시대 아닌가.

경기도의 연정은 한국정치의 새 모델이다. 우여곡절을 겪고, 잡음도 있지만 그런대로 무난하게 연정이 진행되고 있다. 중앙정치도 경기연정을 경이로운 눈으로 쳐다보고 있다. 의회에 당부하고 싶다. 연정을 하니까 추경을 꼭 받아들여야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메르스와 가뭄으로 경기도민들이 지금 겪는 고통을 생각한다면 그런 것들은 모두 지엽적인 것에 불과하다. 지금은 오직 경기도민을 보고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도의회가 조금 손해를 본다 해도 그 마음을 경기도민은 분명히 알고 있을 것이다. 메르스와 가뭄, 지역경제 침체 등 3중고를 극복하는데 연정의 저력을 보여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