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경제 피해 영향’ 기획기사 돋보여
평택항 출입국관리 소홀 후속취재 주문
탄저균 배달 사고 소극적 대처 ‘아쉬움’


경인일보 6월 신문 독자위원회가 지난 13일 경인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민우(경기신용보증재단 영업부문 상근이사) 위원장, 권혁성(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위원, 박승득(전성철·박승득 법률사무소 변호사) 위원, 박종강(경기문화재단 경영전략실장) 위원, 이귀선(수원YWCA 사무총장) 위원, 이봉원((주)누보켐 대표) 위원, 장동빈(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위원, 천진(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수원용인화성지부장) 위원 등이 6월 신문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6월 신문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대한 언급이 주를 이뤘다.

권혁성 위원은 “메르스 사태를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며 “경인일보가 메르스 사태 초기 사실 전달에 주력한 것으로 보여 좋았다”고 말했다.

이어 “3일 자 신문에는 경기도의 초기대응이 미흡했던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했고,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3일과 22일 등에, 민생경제와의 관련성이 23일에 보도되는 등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의 심각성에 접근했다는 점을 칭찬하고 싶다”며 “메르스 대처에 대한 정부의 한계와 경기도의 현실적인 대책을 비교 제시한 25일 자 기사 등은 특히 지역언론의 중요성을 한층 부각시킨 기사라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권 위원은 또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병원문화 개선에 대한 논의가 많았는데, 경인일보도 향후 보다 심층적으로 사회문화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해 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귀선 위원도 “메르스 관련 보도가 셀 수 없이 많이 게재됐는데, 매일 1면과 22면, 23면 등 최소 2개 이상의 기사가 보도되는 등 경인일보가 보도에 부지런했다는 점을 높이 사고 싶다”며 “감염경로와 현재 상황, 지역 상황 등을 자세히 다뤄줬는데,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던 다른 국가의 대처나 예방법도 함께 소개됐다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도 했다”고 말했다.

또 22, 23, 25일 1~3면에 게재된 ‘메르스에 격리된 민생경제’ 기획 기사와 관련해서는 “메르스가 가져온 피해를 경제와 연결해 풀어낸 기획기사였다”며 “현재 상황에서 벌어지는 피해와 전문가의 제언이 돋보였다”고 덧붙였다.

이민우 위원장은 경기도의 발 빠른 피해 대책에 대한 보도를 높이 평가했다.

이 위원장은 “메르스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평택 등 경기도 내 주요 시군의 전통시장에 발길이 끊기는 등 쑥대밭이 됐다.

이에 경기도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온누리상품권 세일 행사에 들어갔고 메르스 피해 지역 업종의 부가세 신고와 납부기한도 연장해 주기로 했으며, 도민들의 공포심 극복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여야, 민관이 협업할 수 있는 거국적 협력네트워크도 제안했다.

특히 6월 10일에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841억원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편성해 메르스 피해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에도 적극 나섰다”며 “경기도의 행정서비스와 각종 편의제고, 자금지원 등에 대한 홍보가 매우 적절했던 동시에 이를 경인일보가 보도함으로써 타 시도와 정부에서도 발 빠른 대처와 벤치마킹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박승득 위원은 6월 8일과 9일 23면에 보도된 ‘출국자 검역 ‘무개념’ 민폐국 만드는 평택항’ 기사와 관련해 “평택항으로 입출국하는 보따리상 등에 대해 제대로 된 메르스 검역이 이뤄지지 않고 불법 입국이 발생했다는 내용의 기사가 매우 충격적이었다”며 “평택항의 출입국 관리상 문제점에 대해 향후 어떻게 보완이 됐는지에 대한 보도와 타 항구에서의 출입국 관리상 문제점에 대한 보도도 지속해서 이뤄지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봉원 위원은 “메르스 관련 보도가 한 달 내내 신문에서 홍수를 이룬 가운데, 탄저균 배달사고 등은 6월 1일 자 사설에만 언급되고 황교안 총리인준 관련, 6·25 65주년 관련 기사 등 굵직한 뉴스들은 비중있게 처리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장동빈 위원도 “탄저균의 전파력과 살상력 등이 매우 크고, 한-미 간의 불평등한 관계에서 지속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사안인데 경인일보의 보도가 매우 소극적이어서 아쉬웠다”고 말했다. 그는 또 “6월 초순부터 국가의 재난관리 시스템에 대한 국민적인 불신이 있었음에도 상당기간 경인일보가 경기도의 대응에만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며 “보도의 방향도 이른바 ‘사태’에 준하는 혼란이 발생하는 경우 반복되는 보도의 틀과 같이 혼란/정부의 대응/경제혼란 등의 순서로 이뤄져 우리 사회가 보여주는 재난대응 시스템의 기본적인 문제를 치유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18일 자 1면에 보도된 ‘하루 새 922명 추가 격리대상 통제불능’ 기사에 관련 기사가 3, 4, 6, 23면에 이어진다고 안내됐으나 23면에는 관련 기사가 없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