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경남 진주에는 사돈지간인 구(具)씨와 허(許)씨가 살고 있었다. 구씨는 장사 수완이 좋았고 허씨는 진주에서 내로라하는 만석꾼 집이었다. 이들은 의기투합해 동업으로 창업했다. 경영은 가족이나 친척이 맡아서 했다. 일종의 ‘가족기업’인 셈이다. 창업 이념은 첫째도 인화(人和) 둘째도 인화(人和)였다. 기업은 승승장구했다. 영업에 강한 구씨와 숫자에 관한 감각이 탁월했던 허씨의 완벽한 조화는 그후 LG라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시키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렇게 시작된 두 가문의 동업은 고 구인회-고 허만정씨, 구자경- 고 허준구씨, 구본무(LG회장)-허창수(GS 회장)씨에 이르기까지 무려 68년간 지속돼 왔다. 그러나 이보다도 더 놀라운 것은 구씨와 허씨가 계열을 분리하면서 아무런 잡음이 없었다는 것. 그래서 부자간·형제간 경영권 다툼이 일상사가 된 대한민국 대기업 역사에 두고 두고 회자될 만한 모범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이다.

오래전 LCD 파트너를 구하려고 한국을 방문했던 네덜란드 필립스 社의 크리스털 리 전 회장은 LG와 손을 잡으면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한국에 투자를 결정하면서 파트너를 찾기 위해 모든 기업을 둘러봤지만 구씨와 허씨가 50년이상 동업자로서 아무 잡음 없이 경영하는 걸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는 기업이 양보와 타협, 신뢰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구본무 회장은 “동업은 결혼과 같은 것이다. 생각이 다르고 자라온 환경이 전혀 다른 남녀가 함께 사는 것처럼 동업자도 서로 신뢰를 바탕으로 양보와 타협을 해야 한다”고 화답했다.

구씨의 경영을 논할 때 등장하는 것이 ‘정도(正道)경영’이다. 고 구인회 회장은 도박이나 술 등 사행성 산업은 물론 ‘먹고 마시는 것’과 연관된 소비성 사업, 부동산투자 사업을 엄격히 금지했다. 부동산 투자로 큰 돈을 벌고, 먹고 마시는 소비성 사업으로 재계 5위가 된 재벌가 롯데가 경영권 다툼으로 휘청거리고 있다. 이제 정부가 나서 롯데그룹의 자금부터 계열사 지배까지 ‘집중 점검’하려는 모양이다. 롯데가 ‘일본기업’이라는 논란이 일어나고, 反 롯데 정서가 들불처럼 확산되고 있는 지금, 인화를 바탕으로 소리 없이 치른 ‘범 LG가(家)’의 계열분리 작업이 새삼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영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