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발달은 편리한 생활을 제공해 준다. 하지만 그림자도 있기 마련이다. 인터넷·휴대폰 등이 은행창구 긴 대기 줄을 없앴지만 이를 이용한 사기조직 출현도 가져왔다.

이러한 사기조직의 기법은 날로 진화, 그 악랄함은 다양해지고 있다. 얼마 전 중국 여배우 위샤오판도 상하이 공안국이라고 밝힌 전화금융사기에 속아 800만위안(14억원)을 송금했다고 하니 그 대상은 국경,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가리지 않고 있다. 보이스 피싱은 생각지 않은 이익을 기대하게 하는 유혹과 예기치 않은 피해를 강조하는 불안감의 틈새를 파고든다. 전자가 세금 등의 환급을 빙자하는 유형이라면 납치를 가장하는 것이 후자일 것이다.

사람은 예기치 않은 말을 들을 경우 당황하기 마련이다. 그러면 사리 분별력이 떨어지고 당장이라도 무슨 일이 벌어질 것 같은 착각에 빠져 의심과 비판의 끈을 놓게 된다. 이렇듯 보이스 피싱에 접하면 외부도움 요청은 생각도 못하고 허둥지둥 은행 ATM기 등을 찾아가 그들이 불러주는 계좌로 송금하게 된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 3월에만 전화금융 사기는 2천451건이 발생했고 피해액도 31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0%가량 늘었다. 이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금감원과 경찰청은 공동대응 핫라인 설치, 대포통장 근절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피해를 당한 후에는 수사에 장시간이 걸리며 피해자가 입증 책임을 지는 등 금전적 피해 외에도 화병을 일으킬 정도의 심리적 고통이 따르는 게 바로 전화 금융사기다. 보이스피싱, 파밍 등 금융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제일 먼저 개인 스스로 조심하고 주의해야 한다는 현실이 씁쓸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현실이다.

/김정기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 경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