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 내수 경제에 큰 타격을 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충격에서 벗어날 즈음에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와 증시 불안의 그늘이 엄습한 데 이어 3연속 악재이다.
연내 예정된 미국의 금리 인상과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하락까지, 올해 우리 경제에 미칠 악재는 4연속, 5연속으로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
우리 경제는 반복되는 북한 리스크에 어느 정도 내성이 생기긴 했지만 현 경제상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에서 여타 대외 요인들까지 불안정해 예상외로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관련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다만 북한의 포탄 도발에 따른 준전시 상태가 대화 국면으로 전환됨으로써 초대형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일단 한숨을 돌렸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북한 포격 도발 당일인 20일 슈퍼마켓 매출은 작년 같은 날보다 7.3%, 백화점 매출은 9.3% 증가했다. 과거 북한이 도발할 때마다 있었던 사재기 등 이상 징후는 없었다.
하지만, 메르스 충격으로 2분기 성장률이 0.3%에 그친 상황에서, 연이은 악재들로 인해 해외 연구기관들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대 중반까지 낮췄다. 23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7%에서 2.5%로 하향조정했다
특히 영국 옥스퍼드대 산하 연구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중국 경제가 급락하면 무역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10개 국가 가운데서도 특히 한국의 충격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금융시장에 불안요소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며, 여기에 글로벌 시장에서 큰 변수로 작용하는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하락도 반길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유가 하락은 원유 수입국인 우리에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석유화학제품 수출 비중이 큰 한국 산업의 부진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외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인천시도 대책을 강구해 지역 기업을 보호해야 한다. 시 차원의 합동점검대책반을 구성해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하며, 지역 경제단체들도 그 어느 때보다 경각심과 긴장감을 갖고 시장 상황을 주시하면서 시에 조언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김영준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