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권고에도 지역반발 고려 경기장 9곳 기초단체 안배
모두 갚으려면 10년 이상 걸려… 활용도 증진 고민해야
‘아시안게임이 끝난 뒤를 미리부터 준비하라!’ 2007년 4월, 경인일보가 2002년 아시안게임을 치른 부산지역 현지 취재를 통해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를 인천시에 전한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인천시는 이를 외면했고, 신설 경기장 관리를 둘러싼 각종 문제에 발목이 잡히게 됐다.
9개 경기장의 2015년도 1년 동안 운영비가 무려 13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이라도 시민 활용도 증진과 수익성 확보를 위한 더욱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표 참조
■ 애물단지 막으려던 경고들
인천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2007년은 부산시가 아시안게임을 치른 지 5년째 되던 해였다. 당시 부산시는 아시안게임을 치른 도시의 명암을 함께 가진 도시였다. 그중에서도 신설경기장 문제가 가장 심각했다. 교통편이 불편해 부산시민의 외면을 받고, 수익을 내지 못해 경기장별로 연간 수십억 원의 적자를 내는 상황이었다.
당시 국제경기전문가인 김만호 동호정보고 교사는 경인일보 취재팀에 “(신설경기장 건설시 인천시가) 사후 활용도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가 대회 이후 5년이 지나도록 안고 있던 문제는 ‘경기장 위치는 각 기초단체간 안배가 아닌 시 전체의 효율성을 따져라’, ‘경기장 건설 등을 위한 재정을 우선 확보하라’, ‘경기장 신설시 관광지와 연계하라’ 등의 조언으로 나타났다. 신설경기장이 인천시 재정을 갉아먹는 애물단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경고였다.
■ 경고 외면한 인천시
그러나 인천시는 아시안게임을 치르기 위해 인천 9개 지역에 경기장을 신설했다. 섬으로 구성된 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9곳의 기초단체에 경기장을 나눠 지은 것이다. ‘시민 체육 활성화’라는 명분으로 사실상 지역을 안배해 경기장을 지은 것이다.
특히 서구의 인천아시아드 주경기장은 당시 문학월드컵경기장을 고쳐 쓰라는 정부의 권고에도 재정사업으로 건립됐다. 해당 지역의 반발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인천시는 경기장 건설 등을 위해 총 1조1천억원 규모의 빚을 냈다. 시가 이를 모두 갚으려면 앞으로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공사 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한 비용을 인천시가 내야 한다는 시공사들의 공사비 청구소송도 잇따르고 있다. 소송액수만 100억원을 넘어섰다. 하자보수 작업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보수 완료율이 30%대에 불과하다. 연간 200억원대의 경기장 운영비를 충당하겠다며 계획한 수익시설 유치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 시민 위한 시설로 거듭나야
인천AG 조직위에 몸담았던 한 관계자는 “인천 9곳에 경기장이 들어설 수 있었던 가장 큰 명분은 시민 체육의 활성화라고 볼 수 있다”며 “결국 경기장을 시민을 위한 시설로 얼마나 잘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더욱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200억~300억원대의 경기장 운영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익성 확보 계획의 빠른 현실화가 중요하다”고 했다.
아시안게임을 위한 시설이 시민을 위한 시설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신설경기장을 둘러싼 각종 현안을 급하다고 단순하게 접근해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애초 수립했던 계획을 바탕으로, 사안별로 신중하게 원칙을 갖고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