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정 지역 출신 및 친인척 중용 인사로 공직 및 지역사회 반발을 사고 있는 공재광 시장이 가슴 깊이 새겨야 할 사자성어가 아닌가 싶다.
시장은 최근 인사를 통해 특정 지역 출신의 인사를 본청 주요보직에 앉히는가 하면 친인척 관계의 토목직 국장을 직렬도 무시한 채 총무국장에 임명했다. 시장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평택시, 직렬파괴한 획기적인 국장 인사 단행'이라는 제목에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자신의 인사에 대한 정당성 부여와 함께 자신의 선택이 옳았음을 자화자찬했다.
이를 두고 공직 및 지역사회는 '시장의 독선이 공직 및 지역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냉랭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이번 인사를 계기로 과거 시장이 지역사회 반발에도 불구, 시 산하단체와 사회단체 임원에 전직 공무원들을 차례로 인선한 사실 등을 거론하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시장의 입장에서 보면 인사는 고유권한인 데다 고심 끝에 내린 결론인데 '왜 이런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는가'에 대해 억울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공직·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핏대를 올려가며 성토하는 말에 귀 기울이면 그 답을 알 수 있다.
시장이 취임 직후 보복 없는 탕평인사와 측근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공헌했는데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과 직렬파괴가 문제가 아니라 공직사회 가장 많은 인원을 차지하는 행정직에서 총무국장직을 수행할 인물이 없었냐는 것, 관피아 척결이 화두로 떠오른 시점에 시대를 역행하는 전직 고위공직자를 시 산하단체와 사회단체 임원에 계속해서 임명했다는 것 등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로 생각하는 건 시장의 지역 편향적·친인척 인사로 평택의 고질적 병폐인 지역감정과 측근 정치가 되살아 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모두를 만족시키는 인사는 없다고는 하지만 과반수가 넘는 이들이 수긍하는 인사는 해야 한다. 지금까지 시장이 보여준 인사는 실망스럽지만 그래도 현명한 46만 평택시민이 선택한 시장인 만큼 다시 한 번 믿어 보고 싶은 마음에 옛날 동네 어른들이 나에게 했던 말을 들려주고 싶다. 같은 한자를 쓰지만 뜻은 다른 인사 이야기다. "인사만 잘해도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단다, 인사 잘해라 웅기야"
/민웅기 지역사회부(평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