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5.jpg
지난해 임금체불 사상 최대. 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임금체불로 고통받은 근로자의 수가 사상 최대인 30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지난해 임금체불 피해 근로자의 수가 사상 최대인 30만명에 달했다.

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임금 체불 근로자는 29만5천677명으로 전년보다 3천119명(1.1%) 늘었다.

임금체불 총액도 2011년 1조874억원에서 지난해 1조2천993억원으로 4년 새 19.5%나 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임금체불 근로자 수와 임금체불액이 각각 7만8천530명과 4천74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건설업(6만5천573명·2천487억원), 도소매·음식숙박업(6만140명·1천740억원), 금융보험부동산·사업서비스업(3만1천814명·1천285억원), 운수창고·통신업(1만8천495명·1천77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제조업과 도소매·음식숙박업은 최근 수년 새 증가세를 보였다.

'차이나 리스크'와 유가 폭락 등으로 조선, 철강, 기계, 자동차 등이 수년째 침체를 겪는 제조업의 경우 2011년 6만390명이던 임금체불 근로자 수가 지난해 7만8천530명으로 30%나 늘었다.

같은 기간 임금체불액도 2천972억원에서 4천749억원으로 59.8% 급증했습니다.

장기 내수침체로 자영업자의 몰락이 현실화하고 있는 도소매·음식숙박업은 임금체불 근로자가 2011년 2만4천262명에서 지난해 6만140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임금체불액도 836억원에서 1천740억원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정부와 여당은 설을 앞두고 '체불임금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임금체불로 소송 등이 진행될 경우 정부의 지원을 대폭 강화해 근로자가 체불임금을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기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1개월 내에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한국공인노무사회와 협력해 영세사업자에 대한 자율 점검도 강화한다. 정부 예산으로 공인노무사의 관련 컨설팅도 확대할 계획이다.

정지원 고용부 근로정책기준관은 "설을 앞두고 임금 체불을 막기 위해 비상근무체계에 들어가는 등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며 "근로자의 생계를 어렵게 만드는 고의·상습 체불 사업주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구속수사 등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