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사고위험 폐·공가 전수조사
철거·안전조치등 분류 관리
중·동구 등 4개구 60곳 정비
입력 2016-03-17 23:08
수정 2016-03-17 23:0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6-03-18 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인천시가 인천지역 폐가 등 빈집을 전수조사해 관리·활용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다음 달 말까지 6개월 이상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은 주택을 조사하고 폐·공가로 확인될 경우 철거, 안전조치, 재활용 대상 등으로 분류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시가 지난해 같은 시기 조사한 인천지역 폐·공가 수는 총 1천713곳이다. 동구가 679곳으로 가장 많고, 부평구 495곳, 남구 341곳, 중구 175곳 등으로 구도심 지역인 인천 4개 구에 98%가 몰려있다.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은 주택은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 쓰레기 무단투기, 범죄 발생 우려 등 문제점이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시는 전수조사를 통해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이 큰 주택들을 파악하고, 집 주인과 협의해 철거하거나 폐쇄 조치 할 계획이다. 철거한 집터는 마을 텃밭으로 활용하고, 안전사고 위험이 크지 않은 주택은 리모델링을 통해 마을 공동이용시설 등으로 쓸 방침이다.
시는 올해 4억 3천만원을 투입해 중구, 동구, 남구, 부평구 등 4개 구에 있는 폐·공가 60곳을 정비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폐·공가가 많은 지역은 주민 안전을 위해 CCTV를 설치하고, 관할 경찰서 등과 협의해 주·야간 순찰을 강화할 것"이라며 "폐·공가를 순차적으로 정비해 구도심 지역 주거환경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인천시는 다음 달 말까지 6개월 이상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은 주택을 조사하고 폐·공가로 확인될 경우 철거, 안전조치, 재활용 대상 등으로 분류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시가 지난해 같은 시기 조사한 인천지역 폐·공가 수는 총 1천713곳이다. 동구가 679곳으로 가장 많고, 부평구 495곳, 남구 341곳, 중구 175곳 등으로 구도심 지역인 인천 4개 구에 98%가 몰려있다.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은 주택은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 쓰레기 무단투기, 범죄 발생 우려 등 문제점이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시는 전수조사를 통해 붕괴 등 안전사고 위험이 큰 주택들을 파악하고, 집 주인과 협의해 철거하거나 폐쇄 조치 할 계획이다. 철거한 집터는 마을 텃밭으로 활용하고, 안전사고 위험이 크지 않은 주택은 리모델링을 통해 마을 공동이용시설 등으로 쓸 방침이다.
시는 올해 4억 3천만원을 투입해 중구, 동구, 남구, 부평구 등 4개 구에 있는 폐·공가 60곳을 정비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폐·공가가 많은 지역은 주민 안전을 위해 CCTV를 설치하고, 관할 경찰서 등과 협의해 주·야간 순찰을 강화할 것"이라며 "폐·공가를 순차적으로 정비해 구도심 지역 주거환경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