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3001002327900134871
강기정 / 정치부
아동보호전문기관(아보전) 상담원들은 '슈퍼맨'이어야 했다. 아동 학대 예방 교육부터 현장 조사, 학대 여부 판단, 피해 아동 관리와 사후 조치까지 모든 일이 상담원들의 몫이었다. 슈퍼맨은 어떤 상황에서도 묵묵히 아동 학대라는 '악'에 맞서 싸워야 했다. 아이를 지키지 못하면 사회의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살릴 수 있었는데 아보전이 제대로 못 했다"는 손가락질을 견뎌내야 했다.

대부분 대학을 갓 졸업한 20대 여성인 아보전 상담원들은 아동 학대 현장에 나갈 때마다 각종 폭언과 폭력 위협에 시달리기 일쑤다. 관할 지역이 워낙 넓어 왕복 5시간을 오가는 '출장' 상담도 부지기수다. 주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는 근로기준법이 무색하게, 야근과 휴일 업무를 거듭하며 족히 70시간을 근무한다.

"일하는 게 두렵고 너무 힘들다"는 상담원들의 고충이 고스란히 사회보호망의 구멍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이 이름 외우기에도 벅찬 상담원들은 채 2년을 버티지 못한다. 피해 아동은 얼굴을 익힐만하면 바뀌는 상담원들에게 마음의 문을 열지 않는다.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길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보호망에 생긴 구멍이 커질수록 사각지대에 방치된 아이들이 늘어간다.

아이들을 학대로부터 구하려면 이들 슈퍼맨이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분야별로 업무를 세분화하고 필요 인력과 기관을 확충해 보호망을 더 촘촘히 짜야 한다. 충격적인 학대 사건이 사회를 뒤흔들 때마다 정부는 대책을 내놓고 체계를 보완했지만, 부천에서도 평택에서도 아이의 죽음을 누구도 막지 못했다.

아버지의 학대 끝에 맨발로 탈출한 인천 11살 소녀와 계모의 학대로 숨진 평택 신원영군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지난 29일 범정부 아동학대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많은 것을 담았지만, 아동 학대 방지의 '최첨병'인 아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빠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반짝' 대책이 되지 않도록 근본에서부터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SOS'를 외치는 슈퍼맨부터 구해야, 슈퍼맨이 보호하는 아이들도 구할 수 있다.

/강기정 정치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