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제조·유통사인 영국계 옥시레킷벤키저가 2011년 '폐 손상 사망' 논란이 일자 민·형사상 책임을 피하고자 기존 법인을 청산하고 새 법인을 설립하는 등 편법을 쓴 정황이 포착됐다.
혐의가 확인되면 위법 행위자뿐만 아니라 해당 법인도 처벌하는 양벌규정에 따라 옥시 법인과 회사 대표 등이 함께 처벌받아야 한다. 하지만 형사 책임을 져야 할 기존 법인이 소멸해 회사는 처벌을 면할 가능성이 커졌다.
법적 책임과 별도로 수많은 피해자를 낳은 제품을 생산·판매하고도 사과나 보상은커녕 끝까지 책임을 피해가려는 대기업의 반도덕적 행태에 비난 여론이 거세질 전망이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옥시는 2011년 12월12일 주식회사에서 유한회사로 조직을 변경해 설립 등기를 했다.
가습기 살균제가 임산부 및 영·유아 폐 손상을 유발했다는 흡입 독성 중간 실험결과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하고 관련 제품 수거 명령이 발동되는 등 사태가 일파만파 번지던 때였다.
조직 변경이란 회사가 법인격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회사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옥시는 조직 변경 절차로 가습기 살균제를 생산·판매해온 기존 법인을 해산한 뒤 주주·사원, 재산, 상호만 그대로 남겨두고 완전히 다른 법인을 신설했다.
파산했을 때 주주·사원 책임이 제한되는 유한회사는 외부감사 및 공시 의무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주식회사보다 폐쇄적 성격을 띤다. 이 때문에 옥시의 조직 변경 사실이 지금까지 외부로 전혀 공개되지 않았다.
이처럼 은밀하고도 갑작스러운 조직 변경은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의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 검찰은 보고 있다.
형사소송법 제328조는 피고인이 사망하거나 피고인인 법인이 존속하지 않게 됐을 때 공소기각 결정을 하도록 규정한다.
대법원도 2005년 이 조항에 근거해 조직 변경으로 기존 법인이 소멸했을 때 양벌규정에 따른 형사책임이 존속 법인에 승계되지 않는다는 판례를 남겼다.
이에 따라 옥시 법인은 혐의가 있다고 해도 검찰이 '공소권 없음' 결정을 할 공산이 크다. 기소의 실익이나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회사 관계자들로 수사 대상을 한정시키고 법인은 교묘히 빠져나가는 전형적인 '꼬리자르기'식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차후 제기될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에 대비해 미리 빠져나갈 구멍을 만든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다음 주께 옥시 관계자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법인 고의 청산, 연구보고서 조작, 유해성 은폐 시도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이다.
옥시의 책임 회피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옥시는 질병관리본부의 흡입 독성 실험 결과를 반박하고자 독자적으로 국내 한 공신력 있는 기관에 의뢰한 실험에서 '제품과 폐손상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오자 해당 실험보고서를 은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은 옥시가 이 실험기관을 돈으로 매수하려 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올해 2월 압수수색 과정에서 실험 데이터 원본을 확보해 옥시 제품의 유해성을 입증하는 유력한 증거로 활용했다.
옥시는 이후 서울대·호서대 연구팀을 통해 결과가 정해진 '짬짜미 실험'을 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옥시는 당시 자사 입맛에 맞는 실험 조건을 주고 이에 맞춰 실험하는 대가로 각 연구팀에 2억여원의 용역비를 지급했다.
소비자가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홈페이지에 올린 부작용 관련 글을 검찰 수사 전 의도적으로 삭제한 정황도 나왔다. 검찰은 디지털 포렌식으로 삭제된 글을 대부분 복구해 옥시 측이 제품의 유해성을 은폐했는지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옥사 측을 둘러싼 의혹의 사실관계를 확인해 증거인멸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옥시레킷벤키저는 영국에 본사를 둔 레킷벤키저가 2001년 동양화학그룹 계열사이던 옥시 생활용품 사업부를 인수해 설립했다.
그때부터 문제가 된 PHGM 인산염 성분이 든 살균제(옥시싹싹 가습기 당번)를 제조·판매해 2011년 11월 수거 명령이 날 때까지 10년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시민단체는 전체 사망자 146명 중 103명이 옥시 제품을 쓰다가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혐의가 확인되면 위법 행위자뿐만 아니라 해당 법인도 처벌하는 양벌규정에 따라 옥시 법인과 회사 대표 등이 함께 처벌받아야 한다. 하지만 형사 책임을 져야 할 기존 법인이 소멸해 회사는 처벌을 면할 가능성이 커졌다.
법적 책임과 별도로 수많은 피해자를 낳은 제품을 생산·판매하고도 사과나 보상은커녕 끝까지 책임을 피해가려는 대기업의 반도덕적 행태에 비난 여론이 거세질 전망이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옥시는 2011년 12월12일 주식회사에서 유한회사로 조직을 변경해 설립 등기를 했다.
가습기 살균제가 임산부 및 영·유아 폐 손상을 유발했다는 흡입 독성 중간 실험결과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하고 관련 제품 수거 명령이 발동되는 등 사태가 일파만파 번지던 때였다.
조직 변경이란 회사가 법인격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회사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옥시는 조직 변경 절차로 가습기 살균제를 생산·판매해온 기존 법인을 해산한 뒤 주주·사원, 재산, 상호만 그대로 남겨두고 완전히 다른 법인을 신설했다.
파산했을 때 주주·사원 책임이 제한되는 유한회사는 외부감사 및 공시 의무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주식회사보다 폐쇄적 성격을 띤다. 이 때문에 옥시의 조직 변경 사실이 지금까지 외부로 전혀 공개되지 않았다.
이처럼 은밀하고도 갑작스러운 조직 변경은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의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 검찰은 보고 있다.
형사소송법 제328조는 피고인이 사망하거나 피고인인 법인이 존속하지 않게 됐을 때 공소기각 결정을 하도록 규정한다.
대법원도 2005년 이 조항에 근거해 조직 변경으로 기존 법인이 소멸했을 때 양벌규정에 따른 형사책임이 존속 법인에 승계되지 않는다는 판례를 남겼다.
이에 따라 옥시 법인은 혐의가 있다고 해도 검찰이 '공소권 없음' 결정을 할 공산이 크다. 기소의 실익이나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회사 관계자들로 수사 대상을 한정시키고 법인은 교묘히 빠져나가는 전형적인 '꼬리자르기'식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차후 제기될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에 대비해 미리 빠져나갈 구멍을 만든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은 다음 주께 옥시 관계자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법인 고의 청산, 연구보고서 조작, 유해성 은폐 시도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이다.
옥시의 책임 회피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옥시는 질병관리본부의 흡입 독성 실험 결과를 반박하고자 독자적으로 국내 한 공신력 있는 기관에 의뢰한 실험에서 '제품과 폐손상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오자 해당 실험보고서를 은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은 옥시가 이 실험기관을 돈으로 매수하려 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올해 2월 압수수색 과정에서 실험 데이터 원본을 확보해 옥시 제품의 유해성을 입증하는 유력한 증거로 활용했다.
옥시는 이후 서울대·호서대 연구팀을 통해 결과가 정해진 '짬짜미 실험'을 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옥시는 당시 자사 입맛에 맞는 실험 조건을 주고 이에 맞춰 실험하는 대가로 각 연구팀에 2억여원의 용역비를 지급했다.
소비자가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홈페이지에 올린 부작용 관련 글을 검찰 수사 전 의도적으로 삭제한 정황도 나왔다. 검찰은 디지털 포렌식으로 삭제된 글을 대부분 복구해 옥시 측이 제품의 유해성을 은폐했는지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옥사 측을 둘러싼 의혹의 사실관계를 확인해 증거인멸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옥시레킷벤키저는 영국에 본사를 둔 레킷벤키저가 2001년 동양화학그룹 계열사이던 옥시 생활용품 사업부를 인수해 설립했다.
그때부터 문제가 된 PHGM 인산염 성분이 든 살균제(옥시싹싹 가습기 당번)를 제조·판매해 2011년 11월 수거 명령이 날 때까지 10년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시민단체는 전체 사망자 146명 중 103명이 옥시 제품을 쓰다가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