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는 교육정책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이후 학창시절의 가장 큰 추억이었던 수학여행은 전면 금지됐고,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생존 수영이나 소방교육 등을 실시하는 등 그동안 입시 위주의 교육정책이 학교 안전을 중심으로 바뀌었다.
특히 경기도교육청은 현장 체험위주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보급하면서 일상생활 속 학생들의 안전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교육부는 세월호사고 직후 학생들의 생활 안전, 교육 안전, 폭력 및 신변 안전, 약물·사이버 중독 및 재난 안전, 직업 안전, 응급처치 등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정해 발표했다. 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간 60시간 이상 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일선 학교 현장에서 7대 안전 표준안이 정착할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교육과정과 연계한 장학자료를 개발해 보급했다. 장학자료에는 학교안전과 관련된 교육내용을 16개로 분류해 사례 중심으로 설명했고 연구학교의 운영사례를 수록해 교사들의 활용도를 높였다.
특히 도교육청은 학생과 교직원들의 위기대처 능력을 키우고 안전생활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체험 중심의 단계별 교육인 나·침·반(나를 지키고, 침착하게 대응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5분 안전교육)을 제작해 일선 학교에 보급하고 있다.
나침반 교육은 화재, 보건, 재난, 생활, 교통 등으로 교육 분야를 세분화해 소화기 사용법, 안전사고에 따른 출혈 또는 골절 등의 대응법, 가스 폭발 등 재난 대처법, 불량 식품 등 실생활에서의 대처법 등을 체험 중심으로 가르치면서 학생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또 학생들의 나이와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해 유아용, 특수학교(급)용, 초등 저학년 및 고학년용, 중고용 등 5종 교재를 제작해 학생들이 친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여러 가지 정책을 만들어 보여주기 식으로 발표하기보다는 학생들이 최대한 친근하게 실생활처럼 접근할 수 있는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있다"며 "특히 현장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교직원 대상 안전교육과 연수를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와 도교육청 차원에서는 단원고를 비롯한 안산지역 학생, 학부모, 교직원들을 치유하기 위한 지원체계와 각종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 중이다. 회복 프로그램은 전문의 등 전문상담사와 교사, 학부모, 도교육청, 지자체가 모두 포함되는 전담기구가 사고이후 꾸준히 활동하며 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다.
/김대현·조윤영기자 kimd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