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개발 따라 중심지 이동… 공동화·쇠퇴 현상 심화
인구 성장세 '2035년 한계' 산업 구조·규제 개선 필요
2028년 초고령 사회 진입 전망 노인·복지문제 등 대두
인천 인구 300만 시대를 앞두고 구도심과 신도시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도시의 인구는 늘지만, 구도심에선 인구 감소로 인한 공동화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다.
인천의 인구 증가는 도시 팽창과 연관성이 있다. 공유수면 매립 등으로 송도국제도시와 같은 '새 땅'이 생기면서 주거용지 공급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이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승격한 게 1995년 1월이고, 그해 3월 경기도 강화군·옹진군·검단면이 인천에 편입됐다. 당시 인천의 면적은 954.13㎢. 작년 말 기준 인천의 면적이 1천48.9㎢인 점을 고려하면, 단순 계산으로 약 21년 만에 94.77㎢ 규모의 땅이 생긴 셈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33배에 달하는 규모로, 대부분 공유수면 매립을 통해 조성됐다. 대표적인 것이 송도국제도시다.
속을 들여다보면, 택지 개발에 따라 도심이 이동하고 분산되는 것도 인천의 특징이다. 도심 이동의 계기로는 경인고속도로·경인전철 개통, 구월동·연수동 개발, 경제자유구역(송도·청라·영종) 지정, 옛 공장 터 개발 등이 있었다.
도시 팽창은 '인구 증가'를 가능하게 했지만, 도심 이동은 '구도심 생성'을 초래했다. 인구 300만 시대를 앞둔 인천시가 구도심과 신도시 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300만 시대를 맞이하는 인천시의 관심은 성장, 도시 경쟁력, 발전 잠재력, 자긍심 등 '외형'에 치중하는 모습이다. 이 때문에 구도심 재생 방안 등 '내면'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발전연구원이 올 3월 내놓은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인천시 도시쇠퇴 특성 분석' 연구보고서를 보면 현재 구도심으로 분류되는 중구·동구·남구 외 지역으로 도시 쇠퇴가 확산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부평구, 남동구, 서구, 연수구 일부 등 기성 시가지에서도 도시 쇠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시가 '인구 1천만명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처럼 인천도 인구가 감소할 것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통계청이 2014년 12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인천 인구는 2035년 318만9천명(실거주자 추정치)으로 정점을 이룬 뒤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서비스 산업 육성 등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국내 대기업의 인천 입지 등을 규제하는 '수도권 규제'(수도권정비계획법)에 적극 대응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인천의 노인 인구 비율은 10.7%(2015년 말 기준)다. 경인지방통계청은 '2015년 인천지역 고령자 통계'에서 2028년 인천의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5명 중 1명은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는 얘기다. 고령화 문제 등 복지 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300만 시대를 앞둔 인천시의 또 다른 숙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 이미지/아이클릭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