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처럼 일부 동탄과 광교, 위례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에 분양 물량이 집중되던 시기에서 벗어나 각 지역별로 세분화 돼 수요를 찾아 분양 공급이 쫒아가는 형국이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두고 이렇게 말한 것이다.
노 교수는 올해 주택시장을 진단하면서 '수요와 공급'이라는 공식을 강조했다.
그는 "공급은 수요에 따라 정해지는 만큼 올해 공급 과잉 논란이 일고 있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미분양 발생 등 부정적 결과만을 불러온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주택 시장의 중심추가 서울과 수도권 일부 대도시에서 시·군 읍면동으로 다양하게 옮겨가면서 부동산 시장을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공급 과잉에 대해서는 "건설업자들이 어느 지역에 분양을 내놓을때는 수요를 파악했기 때문이고 그 결과는 자신들의 몫"이라며 "공급이 많다는 것은 수요자 입장에서 주택 소유의 기회가 늘어나고 거래 활성화를 통해 주택 경기 회복의 동력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이 주도하는 주택 시장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노 교수는 "정부의 주택 정책은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실수요 중심 정책이 아니고 대한민국 부동산을 통틀어 한번에 진단·처방하려는 의도가 강해보인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그는 "현재 주택시장에는 여러 변수가 상존하고 있어 호황인지, 거품인지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결국 주택시장의 향방은 정부의 정책과 이에 대한 시장의 대응 속에서 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