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권 농학박사(수원축협 브랜드사업단장)
김영권 농학박사 (수원축협 브랜드 사업단장)
최근 한우의 사육두수 및 도축두수 감소로 인해 지속적으로 높은 한우고기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한우고기 가격의 고공행진으로 말미암아 소비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고 그 자리를 수입산 쇠고기가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5월 쇠고기 수입액은 전년 동기(약 1억8천537만 달러) 대비 10.5% 상승한 1억7천293만 달러로 나타났으며 이는 한우고기 가격이 너무 비싸면 수입산 쇠고기에 국내 시장을 내주게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우고기의 높은 가격은 육우, 젖소고기, 수입산 쇠고기 등이 한우로 둔갑해 판매될 수 있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때일수록 국내 쇠고기 등급제와 어떻게 쇠고기를 분류하는지에 대해서 잘 알고 등급과 부위명, 용도 등과 원산지 표시를 잘 알고 구매해야 한다.

우리나라 쇠고기의 등급은 육질과 육량등급으로 구분되며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부터 등급판정을 받은 후에야 유통이 가능하다.

육질 등급은 1++, 1+, 1, 2, 3 등급으로 구분되고 고기의 품질을 나타내며 근내 지방도(마블링)를 위주로 평가한다. 육량 등급은 A, B, C 등급으로 구분되고 고기의 양이 많고 적음을 나타내며 유통과정의 거래지표로서 육량지수로 평가한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쇠고기는 육질등급과 더불어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다. 국내산 쇠고기는 한우, 육우, 젖소고기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판매하고 있다.

육우는 육용종, 교잡종, 젖소 수소 그리고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없는 젖소 암소(미경산우)를 고기를 생산할 목적으로 키운 소에서 생산된 쇠고기를 말한다. 젖소 고기는 송아지를 단 한번이라도 낳은 젖소(경산우)에서 생산된 쇠고기를 말한다.

근래 한우는 거세우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어 왔으나 높은 한우 고기가격으로 말미암아 비교적 저렴한 수입산 쇠고기, 육우, 젖소 고기가 한우고기를 대체하고 있다. 한우는 육즙이 풍부하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지방산 중 올레인산(불포화지방산) 함량이 48%로 높다.

높은 한우 고기가격으로 그 동안 선호의 대상이었던 한우고기가 찾는 소비자가 줄어들고 저급의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한우에 대한 인식이 저하된다면 이는 향후 한우시장에 좋지 않을 것이다.

한우고기가 비싼 요즘이 바로 우리 한우시장을 지켜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시점인 것 같다. 현시점에서 소비자에게 바라는 것은 적어도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우리 한우를 구매해주고 우리 한우가 다른 쇠고기에 비해 우수하다는 점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향후 사육두수가 늘어나고 가격이 떨어지는 시기가 와도 변함없이 한우시장을 지킬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김영권 농학박사 (수원축협 브랜드 사업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