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지 대책·원인조사 시급
24일 인천시와 옹진군 등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인천 앞바다 꽃게 어획량(수협 위판량 기준)과 어획고(판매 금액)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66%, 23% 감소했다.
옹진군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꽃게 어획량은 2011년 8천705t, 2012년 9천525t, 2013년 8천208t, 2014년 7천38t 등 완만한 내림세를 보이다 2015년 5천499t으로 크게 감소했다.
올 1~5월 어획량은 620t으로 곤두박질했다. 서해 전체 꽃게어획량을 봐도 2005년(5천t 이하)부터 2010년(3만t)까지 증가하다가 2011년부턴 소폭으로 증감을 반복한다. 그러다가 2014년 2만3천t에서 2015년 1만4천t으로 거의 반토막 수준으로 감소했다. ┃그래픽 참조
꽃게어획량 감소 현상은 TAC(총허용 어획량) 소진 비율에서도 나타난다. TAC는 정부가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몇몇 어종의 어획량을 정해주는 제도다. 정부는 올해 인천지역 꽃게어획 허용량을 5천142t으로 설정했는데, 소진 비율은 약 11%에 그치고 있다. 소진 비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꽃게가 잘 안 잡혔다는 뜻이다.
꽃게어획량 감소 원인으론 우리 어민들의 남획행위, 중국어선의 불법 조업, 기후변화, 산란·성육장 축소 등이 지목된다. 하지만 수산 당국은 아직까지 꽃게 감소의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정확한 데이터가 나와야 종묘방류·보호수역 지정 등의 조치를 취하는데, 여의치 않다"고 했다.
시는 최근 2016년도 제1차 꽃게 수산자원관리위원회를 열어 꽃게자원 회복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시는 이 자리에서 '생분해성 어구사용' '폐어망 투기 금지' '탈피게(물렁게) 어획 자제' 등을 어민 대표들에게 당부했다. 생분해성 어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적 어구를 말하는데, 기존 일반 어구보다 가격이 비싼 데다 익숙지 않다는 이유로 어민들이 사용을 꺼리고 있다.
이 회의에선 "외포란게(산란을 앞둔 꽃게)를 정부에서 구입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과당경쟁을 막기 위해 어구사용량 제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 시는 해사채취로 꽃게 산란장이 줄어드는 점을 설명하며 "꽃게 산란시기에는 해사채취를 자제해 달라"고 옹진군에 요청하기도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