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기관이 계약직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정치 성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질문들을 인성검사에 다수 포함해 논란이 일고 있다.

계약직 직원 채용절차를 진행 중인 A기관은 지난달 25일부터 29일까지 서류 전형에 합격한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인성검사를 실시했다. 인성검사는 모두 250개 문항에 '예/아니오'로 답하는 형태인데, 이 중에는 대기업의 경영구조와 정부정책, 한국 정치·사회에 대한 지원자의 태도 등을 묻는 항목도 20개가량 포함돼 있었다.

'정부 정책은 대체로 옳다' '내가 내는 세금으로 혜택을 받는 것은 하나도 없다' 등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와 맞닿아있는 질문은 물론, '한국사회는 해가 다르게 좋은 방향으로 진보한다' '한국 사회는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 사회에서는 개인의 능력과 자질만으로는 성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한국사회는 많은 면에서 재조정되어야 한다' 등 사회발전과 공정성에 대한 태도를 묻는 항목들도 있었다.

'기업들은 근로자들의 복지향상에 무관심하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부분은 아직도 잘못된 관행을 일삼고 있다'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기업의 윤리의식 부족이다' 등 기업경영 문화와 지배구조에 대한 의견을 요구하는 항목들도 들어 있었다.

특히 이 중엔 '대기업들은 중소기업들로부터 부당한 이익을 취하고 있다' '대규모 자본의 시장지배로 인해 중소업자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대기업 위주의 시장 구조는 장기적으로 국가발전에 해가 된다' 등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인성검사 질문이 다소 불편했다는 한 지원자는 "정치·사회 발전에 대한 태도와 대기업에 대한 생각 등은 개인의 정치성향과 맞닿아 있을 수밖에 없다. 인성을 검사한다면서 왜 그런 부분을 묻는지 솔직히 좀 당혹스러웠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해당 기관은 "이 검사는 지원자의 반사회적 성향, 조직 적응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한 정치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게 곧 조직 적응도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건 아니다"며 "일부 질문이 다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다른 질문들과 상호 보완작용을 거쳐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몇몇 질문만으로 해당 지원자의 합격 여부를 가리거나 성향을 판가름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고 해명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