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통계상 세대(世帶)원이 1명인 '1인 세대'가 739만에 이르러 전체 세대의 34.8%로 가장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행정자치부가 분석한 9월 말 기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전체 2천121만 4천428 세대 가운데 1인 세대가 3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세대 21.3%, 4인 세대 18.7%, 3인 세대 18.5%, 5인 세대 5.1%, 6인 세대 1.2%, 7인 이상 세대 0.4% 등 순이었다.

1인 세대는 주민등록 인구 데이터베이스를 전산적으로 처리한 2008년부터 31.6%로 가장 비중이 큰 세대 유형이었으며 2010년 33.3%, 2014년 34.0%, 올해 9월 34.8%로 꾸준히 증가했다.

1인 세대의 세대주 연령은 50대가 19.7%로 가장 많고 40대가 17.5%, 30대 17.1%, 60대 14.9% 등 순이다.

만 17세 미만인 미성년 1인 세대는 8천918세대(0.1%), 만 100세 이상은 1만 2천438세대(0.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자가 혼자 산다고 신고한 1인 세대의 상당수는 외국인 어머니와 거주하는 사례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혼 등에 따라 외국인 어머니가 자녀와 세대를 새로 구성하는 경우 주민등록법에 따라 외국인은 세대주로 전입신고할 수 없어 한국 국적인 자녀만 신고해 1인 세대로 분류된다.

아울러 만 100세 이상인 세대주는 실제로 홀로 사는 노인인 경우보다 행방불명 등에 따라 거주불명자로 등록된 사례가 많은 것으로 추정됐다.

1인 세대 가운데 남자는 51.9%로 여자(48.1%)보다 많았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천166만 4천244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13만 4천906명(0.26%) 늘었다. 세대 당 인구는 2.44명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여자가 2015년 6월 처음으로 남자 인구보다 492명 많아 전국적으로 여초현상을 보였으며 9월 말에는 남자보다 3만3천840명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주민등록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14만3천672명), 세종(2만5천250명), 인천(1만4천621명), 제주(1만3천804명0, 충남(1만2천182명) 등 8개였고 서울(-5만7천890명)과 부산(-7천956명), 전남(-6천919명), 전북(-4천982명), 대전(-2천534명), 대구(-2천137명) 등 9개 시도 인구는 줄었다.

인천은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의 통계상 등록외국인 5만7천792명을 포함하면 인구가 299만8천228명으로 300만에 육박했다.

시·군·구별로 지난해 말보다 인구가 늘어난 곳을 보면 경기 화성(3만 3천826명)과 경기 하남(3만 218명), 대구 달성(1만 8천537명), 부산 강서(1만 1천175명), 경남 양산(1만 291명) 등 80개였다.

반면 감소한 시·군·구는 서울 강동(-1만 777명)과 대구 달서(-7천90명), 서울 강남(-6천543명), 서울 성북(-5천591명), 경기 안산(-5천524명) 등이었다.

읍·면·동 가운데 9월 현재 주민등록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남양주 화도읍으로 10만4천127명이며 가장 적은 지역은 강원 철원군 근북면으로 110명에 불과했다. 근북면은 별도 면사무소가 없으며철원군 김화읍에서 관할하고 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주민등록 인구가 증가한 시·군·구는 경기 화성(3만 3천826명)과 경기 하남(3만 218명), 대구 달성(1만 8천537명), 부산 강서(1만 1천175명), 경남 양산(1만 291명) 등 80개였다.

반면 감소한 시·군·구는 서울 강동(-1만 777명)과 대구 달서(-7천90명), 서울 강남(-6천543명), 서울 성북(-5천591명), 경기 안산(-5천524명) 등이었다.

한편, 통계청이 지난달 7일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서도 1인 가구가 520만 3천 가구로 전체(1천911만 1천 가구)의 27.2%를 차지해 2인 가구(26.1%)를 제치고 가장 많은 가구가 됐다.

행자부가 관리하는 주민등록 통계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는 일치하지 않으며 세대와 가구의 개념도 다소 차이가 있다. 통계청의 가구원은 한 가구에서 함께 사는 모든 구성원을 의미하며 가족이라도 군복무와 취업 등으로 함께 살고 있지 않으면 가구원에서 제외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