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8만마리 이상 버려지거나 길 잃어버려
'등록제' 강화 등 제도장치 보완·책임의식 필요


2017022001001427300067831
김신태 디지털뉴스부장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 중 약 457만가구, 인구 1천만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다섯 가구 중 한 가구, 네 명 중 한 명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늘어났음에도 잘 키우던 반려동물을 길에 내다 버리는 '유기동물' 문제는 좀처럼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 통계에는 해마다 8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이 고의로 버려지거나(유기), 길을 잃고(유실)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아직도 재미삼아, 혹은 호기심으로 반려동물을 키웠다가 무책임하게 길에 내다 버리는 행위가 없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휴가철만 되면 반려동물의 유기가 더욱 심각해진다는 조사도 나와 있다.

지난 2015년 유실·유기동물 처리비용은 128억9천만원에 달했다. 이 비용은 전년보다 23.5%나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반려동물 유기 행위가 계속되는 이유로는 양육자의 무책임이 크다는 지적이다. 일부 사람들은 비용부담을 이유로, 그리고 반려동물이 나이가 들면서 병이 나거나 사고 등으로 불구가 될 경우 그동안 가족처럼 살아왔던 반려동물을 길에 내다 버리고는 한다.

여기에 동물은 마음대로 버려도 된다는 잘못된 인식, 자신이 아니더라도 누군가 대신해서 키워줄 것이란 막연한 기대심리가 좀처럼 유기동물 개체수를 줄어들지 않게 하고 있다.

동물보호단체들과 지자체, 일부 동물병원들이 나서서 반려동물 교육 및 유기동물 입양 캠페인 등을 벌이고는 있지만 아직 그 효과는 미미한 상태다.

반려동물 문화 선진국들에서도 유기동물 문제가 발생하고는 있지만 이후 이들 동물에 대한 입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보고 배워야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내에서도 이런 유기견들을 대상으로 한 입양활동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도 이달 중 전담 조직을 꾸려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산업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 2014년 의무화 된 '반려동물 등록제'로 인해 유기동물 개체 수가 다소 줄고 있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주변에는 버려진 유기동물(개, 고양이)들을 심심찮게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반려동물 등록제'를 더욱 강화하는 등의 제도적인 장치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기 행위에 대한 적발과 처벌 수준강화 등 행정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등록대상도 현재 애완견에서 고양이 등으로까지 확대해야 한다.

무엇보다 반려동물을 쉽게 사고팔 수 있는 문화를 개선하고 한번 입양하면 평생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반려동물 사육 인구 1천만명 시대'. 최근 '경찰청' 공식 페이스북에 가평경찰서 마스코트인 '잣돌이'의 입양 사연이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1월초 가평경찰서 앞에서 서성이던 한 강아지를 의무경찰대원들이 발견하고 주인에게 찾아주기 위해 유기견센터로 보냈지만 주인은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14일 동안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안락사를 시켜야 한다는 센터 측의 지침을 알게 된 의무경찰대원들은 상의 끝에 결국 강아지를 입양키로 결정했다. 그리고 현재 '잣돌이'는 명예 의경으로 가평경찰서 앞을 든든하게 지키고 있다.

/김신태 디지털뉴스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