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 자유무역 체제 이후 미국의 무역적자가 급증했다며 무역협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USTR은 그러나 한미FTA에 대해서는 대규모 무역적자를 지적하면서도 지난해 이행 협의에 미측 관심사안이 충실히 반영됐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USTR은 1일(현지시간) 발표한 '2017 무역정책 어젠다와 2016 연례보고서'의 서문 격인 '대통령의 2017년 무역정책 의제' 편에서 "버락 오바마 행정부 기간에 도입한 최대 무역협정인 한미FTA와 동시에 한국과의 무역에서 적자가 극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미FTA 발효 직전 해인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에 대한 미국의 수출은 12억 달러(약 1조3천억 원) 줄었으나 한국제품 수입액은 130억 달러(약 14조8천억 원) 이상 늘었다고 USTR은 전했다.
USTR은 "결과적으로 한국과의 무역에서 적자가 2배 이상 늘었으며, 말할 필요도 없이 이는 미국인들이 그 협정으로부터 기대한 결과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USTR은 한미FTA에 앞서 미국의 최대 무역적자국인 대(對)중국 교역과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재협상을 선언한 나프타를 집중적으로 진단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상품 및 서비스 수지 적자가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직전 해인 2000년 819억 달러에서 2015년 3천340억 달러로 300% 이상 증가했다고 지적했으며, 나프타에 따른 지난해 대(對) 캐나다·멕시코 무역 적자도 740억 달러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USTR은 그러면서 "분명히 우리가 여러 무역협정(trade agreements)에 대한 접근법을 심각하게 다시 검토(major review)할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정부는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믿으며, 교역국들도 그 믿음을 공유하면서 무역관계를 더 심도 있게 발전시키길 기대한다"며 "우리는 교역국들이 공정성에 대한 더 높은 기준을 유지토록 할 것이며, 앞으로 불공정 행위를 하는 교역국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한 법적 조치를 하는 것에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USTR은 연례보고서의 '양자 및 지역 협상 및 합의' 편에서 지난해 한미FTA 이행 협의를 위원회별로 상세히 소개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USTR은 한미FTA 공동위원회와 산하 상품무역위원회, 무역구제위원회 등 9개 이행기구 회의를 통해 ▲ 규제 투명성 ▲ 경쟁정책 ▲ 통관정책 ▲ 자동차교역 ▲ 지적재산권 ▲ 전자적 지도서비스 시장 접근 ▲의료기기 등 미국 측 관심사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런 채널들을 통해 상당수 이행 이슈의 해결에 진전을 본 것으로 평가한다"고 진단했다.
USTR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무역정책 어젠다에서 트럼프 정부 무역정책의 기본 원칙과 목적, 이에 따른 무역정책 우선순위를 서술했다.
정책 우선순위로는 ▲ 국가 주권 수호 ▲ 미국 무역법의 엄격한 집행 ▲ 외국시장 개방 위해 레버리지 활용 ▲ 새롭고 더 나은 무역협정 협상 등을 꼽았다.
이는 트럼프가 대통령 취임 전후 여러 차례 천명한 미국 우선주의 통상 기조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USTR은 보고서에서 "20년 넘게 미국 정부는 다자협정과 대외 교역의 촉진을 도모하는 협정에 초점을 맞춘 무역정책을 펼쳐왔다"며 "이러한 시스템이 미국 노동자와 농축산업자, 기업들에 유리할 것이라는 바람이었지만, 실상 미국이 세계시장에서 불공정하게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USTR은 "새로운 무역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트럼프 정부는 미국 노동자의 임금을 늘리고, 미국의 농축산업자·서비스업자 등에 더 나은 수출기회를 주며,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해, 모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할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에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USTR이 보고서에서 한미 FTA를 거론한 것과 관련해 주무 부서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재협상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며 과도한 우려를 경계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FTA 재협상과 관련된 직접적 언급은 없으며 무역적자에 관한 객관적 수치를 제시한 것일 뿐"이라며 "국가별 무역적자 기술을 보면 중국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고 한국에 대한 내용은 6줄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었다. /워싱턴·서울=연합뉴스
USTR은 그러나 한미FTA에 대해서는 대규모 무역적자를 지적하면서도 지난해 이행 협의에 미측 관심사안이 충실히 반영됐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USTR은 1일(현지시간) 발표한 '2017 무역정책 어젠다와 2016 연례보고서'의 서문 격인 '대통령의 2017년 무역정책 의제' 편에서 "버락 오바마 행정부 기간에 도입한 최대 무역협정인 한미FTA와 동시에 한국과의 무역에서 적자가 극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미FTA 발효 직전 해인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에 대한 미국의 수출은 12억 달러(약 1조3천억 원) 줄었으나 한국제품 수입액은 130억 달러(약 14조8천억 원) 이상 늘었다고 USTR은 전했다.
USTR은 "결과적으로 한국과의 무역에서 적자가 2배 이상 늘었으며, 말할 필요도 없이 이는 미국인들이 그 협정으로부터 기대한 결과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USTR은 한미FTA에 앞서 미국의 최대 무역적자국인 대(對)중국 교역과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재협상을 선언한 나프타를 집중적으로 진단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상품 및 서비스 수지 적자가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직전 해인 2000년 819억 달러에서 2015년 3천340억 달러로 300% 이상 증가했다고 지적했으며, 나프타에 따른 지난해 대(對) 캐나다·멕시코 무역 적자도 740억 달러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USTR은 그러면서 "분명히 우리가 여러 무역협정(trade agreements)에 대한 접근법을 심각하게 다시 검토(major review)할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정부는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믿으며, 교역국들도 그 믿음을 공유하면서 무역관계를 더 심도 있게 발전시키길 기대한다"며 "우리는 교역국들이 공정성에 대한 더 높은 기준을 유지토록 할 것이며, 앞으로 불공정 행위를 하는 교역국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한 법적 조치를 하는 것에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USTR은 연례보고서의 '양자 및 지역 협상 및 합의' 편에서 지난해 한미FTA 이행 협의를 위원회별로 상세히 소개하고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USTR은 한미FTA 공동위원회와 산하 상품무역위원회, 무역구제위원회 등 9개 이행기구 회의를 통해 ▲ 규제 투명성 ▲ 경쟁정책 ▲ 통관정책 ▲ 자동차교역 ▲ 지적재산권 ▲ 전자적 지도서비스 시장 접근 ▲의료기기 등 미국 측 관심사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런 채널들을 통해 상당수 이행 이슈의 해결에 진전을 본 것으로 평가한다"고 진단했다.
USTR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무역정책 어젠다에서 트럼프 정부 무역정책의 기본 원칙과 목적, 이에 따른 무역정책 우선순위를 서술했다.
정책 우선순위로는 ▲ 국가 주권 수호 ▲ 미국 무역법의 엄격한 집행 ▲ 외국시장 개방 위해 레버리지 활용 ▲ 새롭고 더 나은 무역협정 협상 등을 꼽았다.
이는 트럼프가 대통령 취임 전후 여러 차례 천명한 미국 우선주의 통상 기조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USTR은 보고서에서 "20년 넘게 미국 정부는 다자협정과 대외 교역의 촉진을 도모하는 협정에 초점을 맞춘 무역정책을 펼쳐왔다"며 "이러한 시스템이 미국 노동자와 농축산업자, 기업들에 유리할 것이라는 바람이었지만, 실상 미국이 세계시장에서 불공정하게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USTR은 "새로운 무역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트럼프 정부는 미국 노동자의 임금을 늘리고, 미국의 농축산업자·서비스업자 등에 더 나은 수출기회를 주며,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해, 모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할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에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USTR이 보고서에서 한미 FTA를 거론한 것과 관련해 주무 부서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재협상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며 과도한 우려를 경계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FTA 재협상과 관련된 직접적 언급은 없으며 무역적자에 관한 객관적 수치를 제시한 것일 뿐"이라며 "국가별 무역적자 기술을 보면 중국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고 한국에 대한 내용은 6줄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었다. /워싱턴·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