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가구 중 월세 비중이 최고치를 경신했다.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어 특단의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주택 임차가구 중 월세의 비중은 2014년 55.0%에서 작년 60.5%로 2년만에 5.5%p나 증가했다. 월세 비중은 2008년 조사에서 45.0%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올라 지난해에는 60% 벽마저 깼다. 수도권 월세 비중은 2014년 46.1%에서 지난해 53.3%로 7.2%p나 높아졌다. 전셋값이 폭등하면서 월세로의 전환이 꾸준히 늘어나 지난해 처음으로 임차가구 중 월세 비율이 60%를 돌파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자가점유율'도 2014년 53.6%에서 지난해 56.8%로 크게 상승했다. 그런데 자가점유율의 증가도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결코 반길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부분 중산층 이상이 전월세 부담 때문에 빚을 내서 집을 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체 주택공급량과 자가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이 최근 4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주거 양극화 현상이 깊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우리 국민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주택 임대료와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주거 양극화현상은 연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월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의 PIR값은 9.8배로 2014년의 8.3배에 비해 2년 사이에 1.5배나 늘어났다. 10년간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집을 살 수 있을 정도다.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은 더욱 요원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주거 양극화 심화 현상은 '빚내서 집 사라'는 식의 박근혜 정부의 주택정책이 서민들에게는 오히려 주거 부담을 높인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정부는 심화되는 주거 양극화현상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공공임대주택의 비율을 늘리는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공공임대주택 비율은 6% 수준이지만 OECD 기준은 8%다. 대선 국면에서 유력 대선후보들은 연간 10만 가구 이상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하고 있지만 재원대책이 구체적이지 않아 그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