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 의지를 강력히 밝히면서 각 업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화두가 되고 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에는 단기 계약직 근로자와 파견업체 직원, 용역업체 직원 등 비정규직 일자리가 많아 새 정부 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이미 많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비정규직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 백화점 용역업체 직원, 정규직의 2배 수준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그동안 비정규직 비중을 꾸준히 낮춰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수치상 비중은 작더라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비정규직 인력 규모가 상당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정 시간, 기간에만 근무하는 근로자들과 유통업체가 직접 고용하지 않는 용역사원 등이다.
16일 유통업계와 각 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롯데백화점 직원은 정규직이 5천102명, 비정규직이 301명이다. 비정규직 비중은 5.6%다.
외주업체를 통해 조달하는 인력은 비정규직 통계에는 잡히지 않지만, 규모는 정규직의 약 2배 규모인 1만 명에 달한다.
이들은 주로 주차, 미화, 시설, 안전 부문에서 일하는 용역업체 직원이다.
그밖에 사은 행사장, 식품판매장 등에서 근무하는 아르바이트 직원도 770명가량 있지만, 이들 역시 비정규직 집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현대백화점은 무기계약직을 포함한 정규직이 총 2천 명 정도이며, 비서와 서무직 등에 약 200명의 비정규직이 근무한다.
그 외 계산원과 주차, 보안, 미화 등의 분야에서 도급사원 약 4천 명이 일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 2007년 계산직원 1천여 명, 2013년 식품 판매사원 50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명절 등 행사 아르바이트를 제외하면 정규직만 근무한다고 밝혔다.
다만 역시 주차, 보안 등의 부문에서는 외부 용역업체 인력이 근무 중이다.
대형마트에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다수 근무 중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직원 2만7천973명 가운데 무기계약직은 1천616명이라고 밝혔다.
이마트는 2007년 점포 계산원 직군 4천223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으며, 2013년에는 판매용역 사원 1만772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했다.
지난 2007년 무기계약직을 도입한 롯데마트는 지난해 전체 직원 1만3천814명 중 일반직이 4천578명, 무기계약직이 9천236명이었다.
홈플러스에서는 비정규직 비중이 전체 직원의 10% 수준이다.
◇ 유통업계 "정규직 전환 노력 지속"…비용 부담 우려도
유통업체들은 일반적으로 24개월 이상 근무한 직원들은 모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왔기 때문에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으로 인한 여파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다만, 수치상으로는 정규직 비중이 과거에 비해 낮아졌지만, 일자리 질을 더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단 근무조건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차이가 있다.
롯데백화점에서 비정규직은 근무 기간이 2년이 되지 않은 계산원과 사무직원들로, 월급은 220만 원 수준이다. 하루 근무시간은 계산원과 사무직이 각각 6시간, 8시간이다.
유통업체들이 '행복사원'이라면서 정규직이라고 주장하는 '무기계약직'의 경우도, 계속 일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처우 등에서는 여전히 정직원과 큰 차이가 있다.
대형마트들의 캐셔(계산원) 등을 포함한 무기계약직 직원들의 시급은 최저임금 수준인 6천 원대 후반으로, 월급도 150만~190만 원 수준에 불과하다.
승진과 근무 연차에 따른 임금 인상 기회도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정규직처럼 회사는 계속 다닐 수 있지만 근로조건은 비정규직에 가까워 무기계약직은 '중규직'이라고도 불린다
다만 유통업체들은 앞으로 '정규직 확대·전환'이라는 새 정부의 노동 정책 기조에 협조하겠다는 뜻은 밝히고 있다.
롯데그룹은 유통계열사 5천 명을 비롯한 비정규직 기간제 근로자 1만 명을 향후 3년간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마트는 비정규직 사원을 적극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이 확정되면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 지난 10년간 500억여 원의 추가 비용을 투입했다고 전했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영업 및 지원인력 단시간 근로자를 오는 2019년 3월까지 전일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내수 침체 등으로 유통업체들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정규직 전환이 가속화되면 고정비가 상승해 수익성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에는 단기 계약직 근로자와 파견업체 직원, 용역업체 직원 등 비정규직 일자리가 많아 새 정부 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이미 많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비정규직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 백화점 용역업체 직원, 정규직의 2배 수준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그동안 비정규직 비중을 꾸준히 낮춰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수치상 비중은 작더라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비정규직 인력 규모가 상당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정 시간, 기간에만 근무하는 근로자들과 유통업체가 직접 고용하지 않는 용역사원 등이다.
16일 유통업계와 각 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롯데백화점 직원은 정규직이 5천102명, 비정규직이 301명이다. 비정규직 비중은 5.6%다.
외주업체를 통해 조달하는 인력은 비정규직 통계에는 잡히지 않지만, 규모는 정규직의 약 2배 규모인 1만 명에 달한다.
이들은 주로 주차, 미화, 시설, 안전 부문에서 일하는 용역업체 직원이다.
그밖에 사은 행사장, 식품판매장 등에서 근무하는 아르바이트 직원도 770명가량 있지만, 이들 역시 비정규직 집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현대백화점은 무기계약직을 포함한 정규직이 총 2천 명 정도이며, 비서와 서무직 등에 약 200명의 비정규직이 근무한다.
그 외 계산원과 주차, 보안, 미화 등의 분야에서 도급사원 약 4천 명이 일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 2007년 계산직원 1천여 명, 2013년 식품 판매사원 50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명절 등 행사 아르바이트를 제외하면 정규직만 근무한다고 밝혔다.
다만 역시 주차, 보안 등의 부문에서는 외부 용역업체 인력이 근무 중이다.
대형마트에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다수 근무 중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직원 2만7천973명 가운데 무기계약직은 1천616명이라고 밝혔다.
이마트는 2007년 점포 계산원 직군 4천223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으며, 2013년에는 판매용역 사원 1만772명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했다.
지난 2007년 무기계약직을 도입한 롯데마트는 지난해 전체 직원 1만3천814명 중 일반직이 4천578명, 무기계약직이 9천236명이었다.
홈플러스에서는 비정규직 비중이 전체 직원의 10% 수준이다.
◇ 유통업계 "정규직 전환 노력 지속"…비용 부담 우려도
유통업체들은 일반적으로 24개월 이상 근무한 직원들은 모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왔기 때문에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으로 인한 여파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다만, 수치상으로는 정규직 비중이 과거에 비해 낮아졌지만, 일자리 질을 더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단 근무조건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차이가 있다.
롯데백화점에서 비정규직은 근무 기간이 2년이 되지 않은 계산원과 사무직원들로, 월급은 220만 원 수준이다. 하루 근무시간은 계산원과 사무직이 각각 6시간, 8시간이다.
유통업체들이 '행복사원'이라면서 정규직이라고 주장하는 '무기계약직'의 경우도, 계속 일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처우 등에서는 여전히 정직원과 큰 차이가 있다.
대형마트들의 캐셔(계산원) 등을 포함한 무기계약직 직원들의 시급은 최저임금 수준인 6천 원대 후반으로, 월급도 150만~190만 원 수준에 불과하다.
승진과 근무 연차에 따른 임금 인상 기회도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정규직처럼 회사는 계속 다닐 수 있지만 근로조건은 비정규직에 가까워 무기계약직은 '중규직'이라고도 불린다
다만 유통업체들은 앞으로 '정규직 확대·전환'이라는 새 정부의 노동 정책 기조에 협조하겠다는 뜻은 밝히고 있다.
롯데그룹은 유통계열사 5천 명을 비롯한 비정규직 기간제 근로자 1만 명을 향후 3년간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마트는 비정규직 사원을 적극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이 확정되면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 지난 10년간 500억여 원의 추가 비용을 투입했다고 전했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영업 및 지원인력 단시간 근로자를 오는 2019년 3월까지 전일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내수 침체 등으로 유통업체들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정규직 전환이 가속화되면 고정비가 상승해 수익성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