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는 외환위기 이후 소액주주운동부터 시작해 20년간 재벌의 편법·불법상속, 전근대적 지배구조, 내부거래 등에 문제를 제기해온 재벌개혁 전문가로 꼽힌다.

재벌의 아픈 곳을 정확하게 집어내 '재벌 저격수'로도 불린다.

특히 삼성그룹의 지배구조·승계 문제에 정통하다. 올 초 검찰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최순실 씨에게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수사하는 과정에 참고인으로 참여해 결정적 도움을 주기도 했다.

경북 구미에서 태어난 김상조 후보자는 1981년 서울대 경제학과에 입학해 같은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순 서울대 명예교수(전 경제부총리)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를 인생의 스승으로 꼽는다.

1994년부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시민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김 후보자가 본격적으로 재벌 견제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다.

1999년 참여연대 재벌개혁감시단장을 맡아 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와 함께 소액주주운동을 이끌었다.

이후 노사정위원회 경제개혁소위 책임전문위원, 참여연대 재벌개혁감시단장, 경제개혁연대 소장으로 일하며 소액주주의 권리 증대와 재벌 감시 활동을 했다.

이번 대선에서 각 당 후보들이 내놓은 집단소송제, 집중투표제, 일감 몰아주기 처벌 강화 등 재벌 관련 정책 대부분이 김 후보자에게 뿌리를 두고 있다.

그간 시민단체에서만 활동하다가 올해 3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캠프에 합류하며 처음으로 현실 정치에 발을 들였다.

보수 경제학자인 김광두 서강대 교수, 조윤제 서강대 교수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정책인 'J노믹스'의 틀을 닦았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역량 강화, 삼성·현대차 같은 금산복합그룹 감시를 강화하기 위한 금융그룹 통합감독시스템 도입,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 강화 등 경제민주화 관련 공약을 주도적으로 세웠다.

진보 학자로 분류되지만, 진보진영에서 금기시하는 발언을 하거나 쓴소리도 서슴지 않아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재벌개혁의 목표와 수단에 대해서도 유연한 자세를 취한다.

금산분리(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겸업 금지)는 중요한 원칙이지만 현행 규제가 한 글자도 고칠 수 없는 금과옥조는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변화된 환경에 맞춰 원칙을 합리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2013년 7월부터는 삼성그룹 사장단 회의에 초청받아 강의하며 삼성그룹과도 의견을 주고받고 있다.

▲경북 구미(55) ▲대일고·서울대 경제학과·서울대 경제학 석·박사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 ▲참여연대 재벌개혁감시단장·경제민주화위원회 부위원장·경제개혁센터 소장 ▲경제개혁연대 소장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문재인 대통령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새로운 대한민국 위원회' 부위원장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