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0 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통해 "지난 30년 우리 사회가 이뤄온 모든 발전과 진보는 6월 항쟁에서 비롯됐다"며 "역사를 바꾼 두 청년, 부산의 아들 박종철과 광주의 아들 이한열을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 앞의 과제는 다시 민주주의라며 '더 넓고, 더 깊고, 더 단단한 민주주의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의 새로운 도전은 경제에서의 민주주의"라며 "소득과 부의 극심한 불평등이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일자리 위기가 근본 원인이다. 제가 일자리 대통령이 되겠다고 거듭 말씀 드리는 것은 극심한 경제적 불평등 속에서 민주주의는 형식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일자리는 경제의 문제일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의 의지만으론 어렵다. 우리 사회가 함께 경제민주주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 양보와 타협, 연대와 배려, 포용하는 민주주의로 가야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 시민사회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도약할 미래는 조금씩 양보하고, 짐을 나누고, 격차를 줄여가는 사회적 대타협에 있다고 확신한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지만 반드시 해내야 할 과제다. 대통령과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진정한 노사정 대타협을 위해 모든 경제주체의 참여를 당부한다"고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이어지는 민주주의는 흔들리지 않는다. 정치와 일상이, 직장과 가정이 민주주의로 이어질때 우리의 삶은 흔들리지 않는다.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역량이 더 성숙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 가자. 관행과 제도, 문화를 바꿔나갈 일은 그것대로 정부가 노력하겠다"며 "민주주의가 정치, 사회, 경제의 제도로서 정착하고 우리 한사람 한사람이 일상에서 민주주의로 훈련될때 민주주의는 그 어떤 폭풍앞에서도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은 2007년 6·10 민주항쟁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처음으로 야외 행사로 진행됐다. 또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이후 10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 앞의 과제는 다시 민주주의라며 '더 넓고, 더 깊고, 더 단단한 민주주의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의 새로운 도전은 경제에서의 민주주의"라며 "소득과 부의 극심한 불평등이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일자리 위기가 근본 원인이다. 제가 일자리 대통령이 되겠다고 거듭 말씀 드리는 것은 극심한 경제적 불평등 속에서 민주주의는 형식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일자리는 경제의 문제일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의 의지만으론 어렵다. 우리 사회가 함께 경제민주주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 양보와 타협, 연대와 배려, 포용하는 민주주의로 가야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 시민사회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도약할 미래는 조금씩 양보하고, 짐을 나누고, 격차를 줄여가는 사회적 대타협에 있다고 확신한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지만 반드시 해내야 할 과제다. 대통령과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진정한 노사정 대타협을 위해 모든 경제주체의 참여를 당부한다"고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이어지는 민주주의는 흔들리지 않는다. 정치와 일상이, 직장과 가정이 민주주의로 이어질때 우리의 삶은 흔들리지 않는다.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역량이 더 성숙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 가자. 관행과 제도, 문화를 바꿔나갈 일은 그것대로 정부가 노력하겠다"며 "민주주의가 정치, 사회, 경제의 제도로서 정착하고 우리 한사람 한사람이 일상에서 민주주의로 훈련될때 민주주의는 그 어떤 폭풍앞에서도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은 2007년 6·10 민주항쟁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처음으로 야외 행사로 진행됐다. 또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이후 10년 만이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