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치매 국가책임제 대비
돌봄패러다임 바꾼 해외 살펴
"지역 특성에 맞게 도입해야"


정기열(민·안양4) 경기도의회 의장을 단장으로 한 도의회 대표단이 문재인 정부의 '지방분권형 개헌'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를 방문(6월13일자 5면 보도) 했던 것처럼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도 문 대통령의 공약인 '치매 국가책임제'의 선진 사례를 살피기 위해 네덜란드 호그벡 치매 마을을 찾았다.

호그벡 치매 마을은 1만5천㎡가량 부지에 마을 형태로 조성된 치매 환자 요양 시설로, 152명의 치매 환자와 요양 보호사 등이 6~7명씩 한 집에서 생활하고 있다.

커피숍과 슈퍼마켓, 음식점, 공원, 미용실, 교회 등 일반 마을처럼 구축해 치매 환자들이 이 마을 내에서 스스로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다. 갇혀있거나 생활을 제한하는 기존의 요양 시설과는 달리 의사나 간호사들도 최소한의 지원만 제공하고 있다.

입주자들은 농장에서 채소를 가꾸고 교회에서 기도를 하기도 한다. 일종의 '마을 공동체'를 통해 치매 환자들의 마음을 보듬는 것이다. 한 언론에선 호그벡 치매 마을을 '치매 환자들을 위한 천국'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보건복지위의 국외 연수는 지난 13일 '치매 국가책임제 실현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여는데 영향을 미쳤다. 보건복지위는 지난 13일 제320회 정례회가 시작되자마자 도와 간담회를 열어 치매 국가책임제가 실시될 경우 경기도 각 지역 특성에 맞게끔 도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현행 47개소인 치매지원센터를 252개소로 확대하기 위한 예산 2천23억원을 추가경정예산안에 편성했는데, 센터 늘리기 식으로만 '치매 국가책임제'를 실시해선 안된다는 게 복지위 측 주장이었다.

문경희(민·남양주2) 보건복지위원장은 호그벡 치매 마을 연수와 관련 "치매 환자에 대한 돌봄 패러다임을 바꾼 사례라 신선하게 느껴졌다. 문 대통령이 '치매 국가책임제' 실시를 공언했는데 참조할 만한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