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올 하반기에 부사관과 의무군무원 등 1천500명을 채용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19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번 채용 계획은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확보' 시책에 부응하고 정예화된 병력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용 규모는 각 군 부사관의 경우 육군 817명, 해군 175명, 해병대 67명, 공군 101명 등 총 1천160명이다.
의무군무원은 간호사 133명, 간호조무사 71명, 약사 38명, 치과위생사 22명, 물리치료사 20명, 의무기록사 16명, 임상병리사 10명 등 340명이다.
부사관 증원은 병력 감축에 따른 전투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간부 증원 계획의 하나로 중사와 하사 중심으로 채용하게 된다.
이번 채용 계획은 추가경정예산으로 추진 중인 공공부문 일자리 1만2천명 충원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하반기에 군별 채용공고 등 채용절차를 진행하고 연말까지 선발을 확정할 계획이다.
선발된 인원은 내년부터 각 군 부대에 배치 돼 근무하게 된다.
19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번 채용 계획은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확보' 시책에 부응하고 정예화된 병력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용 규모는 각 군 부사관의 경우 육군 817명, 해군 175명, 해병대 67명, 공군 101명 등 총 1천160명이다.
의무군무원은 간호사 133명, 간호조무사 71명, 약사 38명, 치과위생사 22명, 물리치료사 20명, 의무기록사 16명, 임상병리사 10명 등 340명이다.
부사관 증원은 병력 감축에 따른 전투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간부 증원 계획의 하나로 중사와 하사 중심으로 채용하게 된다.
이번 채용 계획은 추가경정예산으로 추진 중인 공공부문 일자리 1만2천명 충원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하반기에 군별 채용공고 등 채용절차를 진행하고 연말까지 선발을 확정할 계획이다.
선발된 인원은 내년부터 각 군 부대에 배치 돼 근무하게 된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