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에 또 다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14일 현대차노조 전체조합원 5만여 명의 66%가 파업에 찬성표를 던졌다.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기간이 끝나는 18일부터 합법적으로 파업이 가능해진 것이다.

노조의 임금인상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용보장 요구를 사측이 경영난을 이유로 거부하면서 파국을 맞았다. 노조는 회사측이 영업이익률 하락을 들먹이며 끊임없이 경영위기를 조장함은 물론, 경영부진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노조에 떠넘겼다고 주장했다.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는 식으로 현대차노조는 지난해까지 6년 연속 파업했는데 이로 인한 사측의 손실액만 7조3천여억원에 이른단다.

국민들은 현대차의 노사갈등이 잦아들기를 희망하나 완성차업계 전반으로 확대 재생산될 개연성이 높아 우려가 크다. 현대차노조는 오는 9월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있어 현 집행부는 재선에 성공하기 위해 파업강행 및 투쟁수위도 한층 높일 수 있다. 같은 식구인 기아차 사정도 비슷하다. 기아차노조는 이달 중순께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할 예정인데다 현대차의 불똥이 기아차로 번졌던 전례가 있다.

한국지엠 노조는 79%의 찬성으로 이미 파업을 결정한 상태로, 투쟁목표를 임금인상보다는 고용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사측에 협력할 의향을 비추고 있다. '한국철수설', '축소설' 등의 루머 때문이나 노조가 요구한 생산물량과 차종 확약 등은 GM 본사가 통제하는 사안이어서 한국지엠이 약속해줄 수 없는 입장이다. 수년간 무분규였던 쌍용과 르노삼성의 경우 현재 노사 간에 근로조건 개선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나 올해는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더욱 주목되는 것은 자동차노조의 상급단체인 금속노조가 19~26일을 '사회연대 총파업주간'으로 설정하고 총파업과 총력투쟁을 선포한 점이다. 정부의 이른바 '갑(甲)질과의 전쟁'은 금상첨화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건설하겠다고 공언해 근로자계층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었다. 업계에서는 빠르면 이번 주부터 자동차업계의 하투(夏鬪)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민초들은 먹거리를 하늘로 섬긴다 했다. 민생경제를 볼모로 한 배부른 자들의 이기적 힘겨루기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