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501001700500082331.jpg
25일 서울 마포구 이한열기념관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김포공항경찰대 의경 사망사건 축소·은폐 관련 긴급기자회견에서 김대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가 검시 사진을 들어 보이며 구타에 의한 국소적 손상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연합뉴스

지난 5월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포공항경찰대 의경의 시신에서 상습적인 구타 흔적이 나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인권센터는 25일 마포구 이한열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사망한 박현수 일경의 검시 사진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외력에 의한 멍 자국 등 선명한 구타 흔적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검시 사진을 보면 왼쪽 넓적다리와 우측 종아리 부위에서 멍 자국이 발견됐다. 멍 두 곳은 각각 길이 11㎝에 너비 2㎝, 길이 4㎝에 너비 2.5㎝ 크기였다.

센터 운영위원인 김대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해당 손상은 사망 당시 치유 중이던 것으로 사망 시점 이전에 생긴 상처임이 부검 과정에서 확인됐다"며 "부분적으로 둔력이 작용해 형성된 것으로, 사망 원인과는 상관없는 국소적 충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외에도 지속해서 회복된 상처들이 여러 곳에 보였다"며 "시기를 달리하는 멍은 시기를 달리하는 외력이 있었다는 뜻이고 상습적 구타·가혹 행위가 있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감정서에도 '사망 시점 이전에 형성된, 시간이 지난 손상'이라는 표현이 있다"며 "이에 대해 경찰이 특별한 소견이 아니라고 한 것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센터는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 "경찰 진압봉과 같은 형태의 물건에 의한 체벌이 피해자에게 상습적으로 일어났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일경은 지난 5월 13일 부대 내 화장실에서 목을 매 이대목동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같은 달 25일 숨졌다.

그는 입대 후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센터는 그러나 부대 간부들이 우울증약 복용을 조롱하고 약을 먹지 못하게 압박한 정황도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센터는 "경찰이 구타·가혹 행위를 확인하려고 한 일은 5월 22·27일에 시행한 설문조사뿐"이라며 "검시 사진만 봐도 구타로 추정되는 흔적이 명백한데 사건 발생 2개월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조사를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유족이 서울경찰청 광역과학수사8팀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경찰은 사건 발생 11일이 지난 5월 24일에야 사고 현장을 확인했다"며 "열흘 넘도록 현장 한 번 가보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찰은 멍 자국에 대해 "사건 발생 후 복무점검팀, 특별조사계, 인권담당관 등이 무기명 소원수리와 면담을 했으나 구타나 가혹 행위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박 일경의 멍 자국에 대해 알고 있는 대원은 없었으며 구타·가혹 행위도 없었다고 공통으로 진술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박 일경 부친 등 유족도 부대를 7차례 방문해 대원 면담 등을 했지만, 구타나 가혹 행위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다만 (사고 당시) 협소한 공간에서 4명이 박 일경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어딘가 부딪혀서 멍이 들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2월 22일 박 일경의 부대 전입 직후 지휘요원 면담을 통해 우울증을 앓는다는 것을 확인했고 부모 동의로 병가를 보냈으며 우울증약도 계속 복용하게 했다"며 박 일경의 우울증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경찰은 "유족 측이 제기하는 의혹 등에 대해서는 수사가 진행 중"이라며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