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6년까지 4조원 시장규모
첨단기술 시험 고고도 비행 필수
시, 군부대와 협의 재개 나서기로
4차 산업혁명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드론산업을 선점하기 위한 전국 지자체 간 경쟁이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정도로 치열하다.
인천시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불법조업 단속 같은 공공서비스에 투입할 드론을 상용화한 배경이다. 정부는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평가받는 국내 드론산업 활성화에 전폭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인천시가 드론산업을 선점하려면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드론 관련 사업 유치가 필수다.
■공공 수요가 초기 성장 견인
국토교통부는 올해 안에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을 확정하기로 하고, 최근 공청회를 열어 기본계획안을 공개했다. 현재 704억원인 드론산업의 시장 규모를 2026년까지 4조1천억원으로 성장시키고, 기술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 산업용 드론 6만대 상용화가 목표다.
국토부는 국내 드론시장의 초기 마중물로 '공공 수요 창출'을 대폭 지원하기로 했다. 앞으로 5년 동안 산업용 드론 3천여대(3천12억원)를 공공 수요로 활용하겠다는 게 국토부 구상이다. 전 세계적으로 취미·레저용 드론시장의 70%는 중국의 DJI사가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드론시장은 산업용에 초점이 맞춰졌다.
인천시도 각종 공공서비스에 드론을 도입해 지역 내 수요를 계속 창출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인천은 중국어선 불법조업이 판치는 서해5도 접경지역, 인천대교를 비롯한 대규모 교량, 발전소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 드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를 지원할 특수성이 높은 지역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시 차원에서 공공 수요를 많이 만들어내면 정부 사업과도 충분히 연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드론 인프라 구축도 관건
청라국제도시에 있는 인천로봇랜드 공익시설이 최근 준공되면서 드론 관련 기업이나 연구소가 입주할 수 있게 됐다. 올 하반기 인천로봇랜드에는 국토부 산하 항공안전기술원이 입주하는데, 내년에 정부가 설립할 계획인 드론시험인증센터도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 드론시험인증센터는 새로 개발되는 드론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기관이다.
드론시험인증센터가 활성화하려면 인천로봇랜드 일대가 정부로부터 드론 '공역'으로 지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드론이 150m 상공 이상 고고도 비행을 하거나 자율주행 같은 첨단기술을 시험하기 위해선 고도 제한을 완화하는 공역 지정이 필요하다. 공역으로 지정된 지역에는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같은 인프라 구축 계획도 있다.
현재 정부의 드론 관련 각종 시범사업도 부산, 대구, 강원 영월 등 전국 7곳에 있는 공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는 아직 공역으로 지정된 지역이 없다. 인천시는 지난해 국토부의 공역 지정 공모사업에 인천로봇랜드 일대를 신청했지만, 인근 군부대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탈락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선 인천에 드론 공역이 필요하다"며 "인천로봇랜드의 공역 지정 신청을 위한 군부대와의 협의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