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 경축사에서 일일이 이름을 부른 독립운동가 5인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로 손꼽히는 인물들이다.
대부분이 국가보훈처가 선정하는 이달의 독립운동가에 뽑혔던 인물들로, 문 대통령은 의사·기자·과학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을 위해 애쓴 이들의 이름을 부르며 숭고한 희생을 기렸다.
이태준(1883∼1921) 선생은 몽골에서 의술을 펼치면서 독립운동을 도왔다.
경남 함안 출신으로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한 선생은 안창호 선생의 추천으로 비밀결사 신민회의 외곽단체인 청년학우회에 가입해 활동하다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체포 위기에 처하자 몽골로 망명했다.
선생은 몽골 고륜(지금의 울란바토르)에서 동의의국이라는 병원을 열어 근대 의술로 몽골인들을 치료했고 황제의 주치의까지 지냈다. 선생은 신한천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된 김규식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열렬한 독립운동가였다.
몽골을 점령한 러시아 백위파(러시아 혁명 반대세력) 대원에 의해 38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장덕준(1892∼1920) 선생은 황해도 재령 출신으로 1914년 평양 일일신문사에 입사해 언론인이 됐다.
1915년 일본으로 유학을 갔다가 이듬해 돌아와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했고 '추송'이라는 필명 하에 '조선 소요에 대한 일본 여론을 비평함'이라는 논설로 일본의 3·1 운동 왜곡을 비판했다.
1920년 만주에서 일본군이 독립군의 청산리 대첩에 대한 보복으로 조선인 수천 명을 학살한 '경신참변'이 발생하자 현장으로 가 일본군의 만행을 취재했다.
취재 중 일본인에게 불려 나간 뒤로 소식이 끊겼는데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간한 독립신문은 선생이 일본군에 암살당했다고 보도했다. 선생은 한국 언론사상 첫 순직 기자가 됐다.
남자현(1872∼1933) 선생은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한 뒤 만주로 망명해 서로군정서·대한통의부 등 항일 단체에 가담했다.
북만주 일대에서 예수교회와 여성교육기관을 만들어 여성계몽운동을 벌이고 1920년 청산리 대첩에서 부상한 독립군 치료에 힘을 쏟아 '독립군의 어머니'로 불렸다.
1932년에는 왼손 무명지를 잘라 흰 수건에 쓴 '한국독립원(韓國獨立願)'이란 혈서와 손가락을 국제연맹조사단에 보내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기도 했다.
1933년, 일본 고위관리를 암살하려고 무기를 운반하다 하얼빈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돼 6개월간 옥고를 치른 뒤 '독립은 정신으로 이뤄진다'는 말을 남기고 순국했다.
김용관(1897∼1967) 선생은 경성공전을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장학생으로 일본 유학을 다녀와 과학기술 대중화에 앞장선 운동가였다.
민족의 힘을 키우는 데는 과학의 부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1932년 '발명학회'를 조직했고 이듬해 일제강점기 대표적 대중 과학기술 잡지인 '과학조선'을 창간했다.
일본의 탄압 속에서도 발명학회의 활동은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일제의 군국주의가 노골화하며 급속히 위축됐고 김 선생도 일선에서 물러났다고 한다.
1967년에 암으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나운규(1902∼1937) 선생은 영화 '아리랑'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한 독립군 출신 영화감독으로 비교적 잘 알려진 인물이다.
함경북도 회령 출신인 선생은 고향에서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의 수배를 받게 되자 연해주를 거쳐 북간주로 이주했다.
간도지역에서 무장 독립운동이 활발할 때는 철도와 통신 등 일제의 기관시설 파괴 임무를 띤 독립군으로 활약했다.
철도 파괴 계획이 일본의 손에 들어가 2년간 옥고를 치른 선생은 1924년 극단 예림회에 가입, 연극배우로 활동했고 '심청전', '흑과백' 등의 연극에도 출연했다.
1926년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영화 '아리랑'을 제작해 주목을 받았고 '풍운아', '잘 있거라', '사랑을 찾아서' 등의 작품도 만들었다.
1937년 폐병으로 35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연합뉴스
대부분이 국가보훈처가 선정하는 이달의 독립운동가에 뽑혔던 인물들로, 문 대통령은 의사·기자·과학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을 위해 애쓴 이들의 이름을 부르며 숭고한 희생을 기렸다.
이태준(1883∼1921) 선생은 몽골에서 의술을 펼치면서 독립운동을 도왔다.
경남 함안 출신으로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한 선생은 안창호 선생의 추천으로 비밀결사 신민회의 외곽단체인 청년학우회에 가입해 활동하다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체포 위기에 처하자 몽골로 망명했다.
선생은 몽골 고륜(지금의 울란바토르)에서 동의의국이라는 병원을 열어 근대 의술로 몽골인들을 치료했고 황제의 주치의까지 지냈다. 선생은 신한천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된 김규식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열렬한 독립운동가였다.
몽골을 점령한 러시아 백위파(러시아 혁명 반대세력) 대원에 의해 38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장덕준(1892∼1920) 선생은 황해도 재령 출신으로 1914년 평양 일일신문사에 입사해 언론인이 됐다.
1915년 일본으로 유학을 갔다가 이듬해 돌아와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했고 '추송'이라는 필명 하에 '조선 소요에 대한 일본 여론을 비평함'이라는 논설로 일본의 3·1 운동 왜곡을 비판했다.
1920년 만주에서 일본군이 독립군의 청산리 대첩에 대한 보복으로 조선인 수천 명을 학살한 '경신참변'이 발생하자 현장으로 가 일본군의 만행을 취재했다.
취재 중 일본인에게 불려 나간 뒤로 소식이 끊겼는데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간한 독립신문은 선생이 일본군에 암살당했다고 보도했다. 선생은 한국 언론사상 첫 순직 기자가 됐다.
남자현(1872∼1933) 선생은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한 뒤 만주로 망명해 서로군정서·대한통의부 등 항일 단체에 가담했다.
북만주 일대에서 예수교회와 여성교육기관을 만들어 여성계몽운동을 벌이고 1920년 청산리 대첩에서 부상한 독립군 치료에 힘을 쏟아 '독립군의 어머니'로 불렸다.
1932년에는 왼손 무명지를 잘라 흰 수건에 쓴 '한국독립원(韓國獨立願)'이란 혈서와 손가락을 국제연맹조사단에 보내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기도 했다.
1933년, 일본 고위관리를 암살하려고 무기를 운반하다 하얼빈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돼 6개월간 옥고를 치른 뒤 '독립은 정신으로 이뤄진다'는 말을 남기고 순국했다.
김용관(1897∼1967) 선생은 경성공전을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장학생으로 일본 유학을 다녀와 과학기술 대중화에 앞장선 운동가였다.
민족의 힘을 키우는 데는 과학의 부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1932년 '발명학회'를 조직했고 이듬해 일제강점기 대표적 대중 과학기술 잡지인 '과학조선'을 창간했다.
일본의 탄압 속에서도 발명학회의 활동은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일제의 군국주의가 노골화하며 급속히 위축됐고 김 선생도 일선에서 물러났다고 한다.
1967년에 암으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나운규(1902∼1937) 선생은 영화 '아리랑'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한 독립군 출신 영화감독으로 비교적 잘 알려진 인물이다.
함경북도 회령 출신인 선생은 고향에서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의 수배를 받게 되자 연해주를 거쳐 북간주로 이주했다.
간도지역에서 무장 독립운동이 활발할 때는 철도와 통신 등 일제의 기관시설 파괴 임무를 띤 독립군으로 활약했다.
철도 파괴 계획이 일본의 손에 들어가 2년간 옥고를 치른 선생은 1924년 극단 예림회에 가입, 연극배우로 활동했고 '심청전', '흑과백' 등의 연극에도 출연했다.
1926년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영화 '아리랑'을 제작해 주목을 받았고 '풍운아', '잘 있거라', '사랑을 찾아서' 등의 작품도 만들었다.
1937년 폐병으로 35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연합뉴스